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곱새치기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기타유희요 > 내기놀이 > 곱새치기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천군 내촌면 도관리 물걸의 곱새치기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동선, 이병국, 김진규 |
---|---|
실연방법 | 윤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동선, 이병국, 김진규 |
지역개관 | 도관리는 80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물걸, 동창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논은 동창앞뚜루에 모두 들어가 있다. 전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터를 잡아 살았는데 옛날에 집안에서 용마가 나 모두 망했으나 요즘 다시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마을에는 말(용마)이 빠져죽었다는 말구리소가 있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으로 밭이 많은데 예전에 밭을 논으로 만들어서 벼농사를 짓다가 그 논을 다시 밭으로 만들어서 고추, 채소 등 특용작물을 주로 재배하고 있다. 이 마을의 노인회관에는 다풍리, 도관1·2·3리, 문연리, 서곡리 사람들이 온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3월 1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도관리 물걸에서 채집한 곱새치기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동선, 이병국, 김진규가 참여하였다. 곱새치기노래는 노래 자체보다는 놀이를 위해 숫자를 전달하기만 하면 되는 노래인데다, 한잣말이 많고 전파 과정에서 와전된 것이 많아 가창자들도 노랫말의 뜻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싸시랭이가 주로 엽전을 사용하는 반면에 곱새치기는 진목이라는 도구를 만들어서 사용했다. 진목은 대개 한지를 접어서 기름을 발라 만들었고 진목의 1자에는 소나무, 2자에는 매화나무 줄기 하는 식으로 1부터 10까지 그림이나 숫자를 그려 넣었다. 싸시랭이나 곱새치기나 둘 다 숫자 놀음으로 요즘은 화투를 사용하기도 한다. 김동선 가창자는 곱새치기를 서른살 무렵에 배웠는데 원래는 함경도에서 나온 소리라고 했다. |
가사 | 1 자아 일본놈이 삼각산에 올라가 이상한 요술을 꾸며가지고
대한민국을 잡아먹을라고 하는 일자란다 일노도전장에1) 대포소리다 일천이 간장 일천이 간장 송아지 송아지가 꼴만 달라는군 백낙천2) 권학문이로군3) 2 자아 이천도래가 견방화니 이천도래 견방화 이천석 실은 배로군4) 아 관악이 동쪽이요 관악이 동쪽5) 관악이 동쪽이다 관악이 동정이지 둘이 눕구서 틈이 없구나 3 삼월삼월 모춘삼일이 설한풍이 불믄 비 온단다 전라감사는 고와만 우누나 아 스리살짝 걷구 보니 처녀적 걸음이다 슬근이 송풍6) 삼을 심으니 동자삼이요 삼낭게 연이 걸렸네 4 돌돌레 광천이로군 자 너덧이 곱새틉시다7) 똘격이새8) 울어 동트는군 너덧이 곱새틀자는군 5 오시락 바시락 담 넘어간다 나경동정9) 나경이 동정 오마던 님이 오셨네 자 나격이 동정이요 나격이 동정 오대산 신령님이다 오촌댁이면 당숙모라지 꺾으니 오현발이로군10)(오신님 가실줄을 모르네) 6 자 누구누구가 곱새꾼이냐 누워리 갈 길11) 청산만 고와 오누나 누워서 가는 길이 황천객이다 누워리 갈 길 육진장포가12) 열두멕이 누워 가는 건 황천길이로군 7 자 칠산가는 조기잽이 배란다 농천호걸 한방맞다 청룡도 드는 칼인가 칠부두 측량 만주 뜰이다 농천이 호걸 농천호걸에 디디구 나니 멥새난다 농철수13) 흐르는 물이로군 8 자 팔아라 딜여라 돈 쓸 일 났네 팔도 명산이 금강산 만물초로군 아 금이도 억시게14) 상팔자요 금수두 강산 팔아라 딜여라 돈 씰일 났네 금강산 유점사로군 9 구지두 금강이 낙진포 집문전에 귀객이 나를 찾네 월숙 상경달은 보름달인가 아 원리로 갔다가 순리로 오너라 월선이 금탄15) 국궁다대긴16) 공굴이 판이지 구월산이면 나물꾼이로군 10 자 스물넉장 도시요리17) 장근도감이18) 나가신다 장근이 도감 장차 할 말 취재도 하랑 장근이 도감 아 장한림 수풀에 꿩이 긴다 장근이 도감 장장거리고 뎀비지 마라 장근도감이다 십만석 실어놓은 배로군 1)일로도전장 : 노일전쟁. 2)백낙천 : 백거이. 중국 당대의 대표적 시인. 3)勸學文. 4)이천석을 실은 배가 자기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얘기라 함. 5)관악산이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는 뜻이라 함. 6)슬근이 송풍 : ? 7)초가집의 이엉 얹는 것을 곱새튼다고 하는데서 나온 말이라 함. 8)똘격이새 : 소쩍새라고 한다. 9)나경동정 : ? 10)오현발→오연발 : 다섯발을 연달아 쏠 수 있는 총. 11)누워리 갈 길 : 죽어서 가는 길이라 함. 12)육진장포 : 지난날 함경북도 육진에서 나던 필(疋)의 길이가 정한 척수 보다 긴 삼베. 흔히 사람이 죽어서 시신을 묶을 때 많이 쓰인다. 13)농철수 : 강이름이라 함. 14)錦衣玉食. 15)월선이 금탄 : ? 16)국궁다대기 : 굳게 다진 것이라 함. 17)도시요리 : 늙은이의 일본말. 18)장근도감 : 장사판의 접장어른이라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