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삶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천군 동면 삼현리 삼재의 논삶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용환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용환철 |
지역개관 | 홍천군 동면 삼현리 삼재는 마을에 세 개의 고개가 있어서 삼현리라 부른다. 이곳은 현재 80여 가구가 살고 있다. 고개는 장전평으로 넘어가는 삼재고개, 홍천읍으로 넘어가는 거늘재와 지고개가 있고 웃삼재, 안모텡이, 대터, 잣나무백이, 무네미, 양지말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평산 신씨, 홍천 용씨, 밀양 박씨 등이 마을에 먼저 들어와서 터를 잡고 살았다고 한다. 마을사람들은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살며 논과 밭이 반반으로 벼농사 외에 담배·인삼·고추 등을 많이 재배한다. 동제는 삼년마다 한 번씩 당지사를 지내며 정월에 날을 받아 돼지를 잡아서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3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동면 삼현리 삼재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용환철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이러! 아 이 논 한 자리 삶아 보자 우리. 이 논자리 큼지막하구나 이거 어. 이러!
들어와 서라! 저 들어와 서 이놈! 아 이놈 들어와 시구 너두 들어와 서 이놈아. 이러!” 이러 어디 나가자 이 말를1) 두구서 나가보자 어치 잘도 간다! 이러어이 마라루2) 어디여 마라 마마 안야! 지어서라 저 놈의 소! 어디 가나 바루 가야지! 이러 어 후후 이 구섴을 섹키구3) 나가자 어치! 이러 어디야 마라루 어 돌아서 어후후!4) 인제 둘째 말를 두구 나가자 옳다 잘한다! 이러 어디여 마라루 옳다! 이러 어디야 부지런히 가자 모꾼이5) 쫓아오면 우리 등어리에 모춤 날라온다 이러! 이러 어디호호 옳다 이제 두 말이 됐구나! 어 후 어치! 두 말를 두구서 나가면 힘도 안 들구 잘 돌아신다 마라루 어치! 이러 어디여 안야루 힘든다 말구서 슬슬 다려라 어 어디여 마라루 일락으는 서산은 해가 올라 앉었는데 우리 일은 많구나 많구나 부지런히 가자 이 놈의 소들아! 이러 어디여 마라루 어후후! 이 말를 다 제키구 두벌 말을 타 놨으니 세벌꺼정 다 됐구나 어 꼭대기 배미 올라가자 이러 어이! 어이! 어이! 올라서 어이 부지런히 올라가 이눔마! 이러 어디야 어 잘두 간다! 철벙 철벙 잘두 간다! 이러 어디여 다려라 목두 마르구 힘두 든데 막걸리 좀 먹자 와 와와 와!! 1) 말를: '말'은 써레질을 하지 않아 흙덩이가 솟아있는 부분. 2) 마라루: 마랏소 쪽으로, 곧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라는 말. 왼쪽 소는 '안소'이고 왼쪽 방향은 '안야로'가 된다. 3) 섹키구: 삭히고. 여기서는 '써레질을 하고'. 4) 어후후: 논의 가장자리에서 방향을 돌릴 때 하는 신호. 5) 모꾼: 모심는 일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