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횡성군 청일면 춘당리 사재울의 갈꺾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심운택, 변형근, 이강석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심운택, 나/변형근, 다/이강석 |
지역개관 | 춘당리는 대수련이(대수원), 너렁바우, 주주리, 사재울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들은 대수련이 앞들, 노쟁이들 등이 있다. 진주 정씨와 윤씨가 오래동안 살았다고도 하나 예전부터 각성바지였고 현재 마을에는 80여 가구가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농경지는 밭이 조금 더 많으며 예전에는 홉을 집중적으로 재배했으나 지금은 도라지·더덕·오이·고추 등의 특수작물과 콩, 찰옥수수 등을 많이 심는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 초정일 새벽에 당치성을 드리고 있다. 제물은 돼지머리 등을 쓰며 축을 읽고 동네사람 소지를 모두 올려주는데 객지에 나간 자손도 올려준다고 한다. 대수련이도 같은 날 저녁에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3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청일면 춘당리 사재울에서 채집한 갈꺾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심운택, 변형근, 이강석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가 : 아리랑 고개루 넘어올 줄 알았음
질럼질럼 섰더라면은 꼭 만내볼 걸 세상에 만사를 누겨다가1) 믿고 잠이나 든 듯이 꼭 죽어졌나 나 : 해과 달으는 오늘 갔다가 내일날이면 오련만 임자 당신 인제 간다면 원제 한 번 오느냥 아리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 고개고개로 날만 넘겨주오 다 : 문전옥답에 광포전지를2) 왜 다 팔아먹고 쓸쓸한 북간도는 뭣하러 왔나 지불명령에 강지나 집형은3) 해해년년이 만나도 술상머리 쓰느네 금전을 아끼지를 마라 가 : 세상에 나 죽거덩 천하명당을 찾지 말고 술상에 머리다 날 묻어주게 세상에 못 사굴 거는 금전꾼에 낭군 금시녈만4) 났다면은 영이별이로다 나 : 오늘 갈지 내일 갈지나 흥수나 흥망인데5) 울타리 밑에다 줄봉사는 왜 심었던고 1)누겨다가 : 누구에게다. 2)광포전지 : 넓고 좋은 땅이라 함. 3)강지나 집형 : 강제집행. 4)금시녈 : 금광을 말하는 듯. 5)흥수나 흥망 : 정수정망(定數定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