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횡성군 청일면 춘당리 사재울의 풀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변형근, 심운택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변형근, 심운택 |
지역개관 | 춘당리는 대수련이(대수원), 너렁바우, 주주리, 사재울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들은 대수련이 앞들, 노쟁이들 등이 있다. 진주 정씨와 윤씨가 오래동안 살았다고도 하나 예전부터 각성바지였고 현재 마을에는 80여 가구가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농경지는 밭이 조금 더 많으며 예전에는 홉을 집중적으로 재배했으나 지금은 도라지·더덕·오이·고추 등의 특수작물과 콩, 찰옥수수 등을 많이 심는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 초정일 새벽에 당치성을 드리고 있다. 제물은 돼지머리 등을 쓰며 축을 읽고 동네사람 소지를 모두 올려주는데 객지에 나간 자손도 올려준다고 한다. 대수련이도 같은 날 저녁에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3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청일면 춘당리 사재울에서 채집한 풀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심운택, 변형근이 참여하였다. 밭에 있던 마른 깻대를 썰면서 녹음했다. |
가사 | 우러리야
일시두 맘 놓지 말고 지렝이 갈빗대다!1) 한아름 안고 닥쳤다! 대화 방림2) 새초거리 싸릿가지 강릉 꽂감꽂이 우러리 둥둥 울렸다 북나무 우러리 늙은이 방구 북나무 젊은이 방구 뽕나무 아 우러리 한아름 안구 닥쳤다 일시도 맘 놓지 말구 자 개다리 심 올랐다3) 양다리 힘 올랐다 맛보지 말구4) 야 안구 닥쳤다 밀구 다려라 우러리! 일시두 맘 놓지 말고 우러리 야 개다리 심 올랐다 쾅쾅 딛어 대화 방림 새초거리 왜 이래! 우러리 조심해! 늙은이 방구 뽕나무 젊은이 방구 북나무 둥둥 울렸다 북나무 대화 방림 새초거리 일시도 맘 놓지 말고 발발 떨었다 사시나무 색시집에 부티나무 올러가 한참 내려가 한참5) 쉬어가민 개다리 심 올랐다 우러리야 자 지렝이 갈빗대다 잘 썬다 어 듬뿍 또 들어간다 한아름 안고 아람으로 들어가 짐으루 나간다 잘한다 어어 어허 조끔도 맘놓지 말고 안고지고 들어간다 지렝이 갈빗대 궁데이 사데이다 우러리야 우러리 우러리 우러리 우러리 마주 가져와 막걸리 한 잔 먹을 때가 돼 간다 다 넘간다 다 넘어가 어 잘 썬다 막걸리 한 잔 먹고 합시다 어 잘 썬다 잘 썰어 1)지렝이 갈빗대 : 가는 싸리나무를 비유하여 표현한 말. 2)대화방림 : 지명. 평창군 대화면과 방림면. 3)개다리 심 올랐다 : 다리가 기운이 좋아서 힘을 들여 잘 딛는다는 뜻. 4)맛 보지 말고 : 작두를 덜 디뎌 썰어지다 마는 것을 경계하는 말. 5)작두를 빨리 딛지 않고 뜸을 들인다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