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횡성군 우천면 정금리 쇠끔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연순, 정옥출, 안경희, 우영진, 김영배, 엄영태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연순, 나/정옥출, 다/안경희, 라/우영진, 마/김영배, 바/엄영태 |
지역개관 | 정금2리는 88가구에 300여 명이 살고 있으며 밀말, 응달말, 큰터, 샛당, 바라골, 구렁말, 대숲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논과 밭은 각각 반반으로 담배·고추·호박 등 특용작물을 많이 재배한다. 정금1리는 73가구가 살고 있으며 장터, 양지말, 머둔골, 쇠꿈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정금이라는 이름은 마을의 형태가 솥처럼 생긴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논이 있는 들은 눈무레이들, 새담들, 당들, 탑들, 용구들 등이다. 횡성회다지소리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대통령상을 받으면서 외부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현재 마을에는 민속관이 있으며 1994년 민속마을로 지정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정금리 쇠끔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연순, 정옥출, 안경희, 우영진, 김영배, 엄영태가 참여하였다. |
가사 | 나 : 삼친령 말레 선질꾼이 떴는데1)
노루목 땡삐갈보는 술이나 걸러 대거라 가 : 어둔이골2) 연자방아는 사시사철 도는데 시집 못간 뒷집 처녀가 안달이 났네 나 : 수수밭 텃도지는 내가 물어주꺼니 구시월 까정만 거기만 있어주게 가 : 오동나무야 가죽나무야 너 잘 자라거라 우리 딸 시집 갈 적에 오동장농 짜주자 나 : 갱변이 좋어서 빨래를 갔더니 시누에 남편두나두 돌비개를 비라네 가 : 앞남산 철뚝꽃은 울긋에나 불긋 정든님 얼굴이가 여전두하네 나 : 돈 닷 돈 바래구서 봄보리밭엘 갔더니 물명주 단속곳 가래이에 똥칠만 했다 가 : 요놈으 총각아 치매폭을 놓여라 물명지 당사실루다 주름잡은게 콩 뙤듯하네 나 : 오이밭에 원수는두나 고듬도치가 원수고 본당자 마다구나 가는 여인은 전화줄이 원수라 가 : 도랑가에 오름포름에 거무노리는3) 무시네 죄를 졌길래 큰아기 손찔에 칼침만 맞네 다 : 양달에 양고사리 응달에 응고사리 똑똑 꺾어 활나무 쪽쪽 찢어 도라지 짠지 달달 볶어 더덕짠지 진수성찬 만반지수4) 채려 놓구서 임자당신을 내집이 오시람 오시나 거무같은5) 날 바라구서 여기를 오셨지마 : 니나 내나 시방시채6) 죽어지면 공동묘지 가서 집짝같은 뗏장을 안구서 폭폭 썩어질 인생아 너머나도 도척같이두 맘 먹질마라 바 : 니팔자나 내팔자나 아차 한 번 죽어지면 육신장포 일곱매끼 자잘끈 조여 매여 사시나무 장정틀에7) 밤나무 마구리에 대추나무 연촛대에 웽그랑 뎅그랑 네귀에 풍경달고 영월 평창 운교 지골 대화 방림 강릉8) 이통천네9) 문앞 스물두다릴 건네10) 오호넘차 북망산천 돌아 들어 들장떼로11) 이불을 삼고 늘장떼로 울타릴 삼아 살은 폭폭 썩어서 흙밥이나 되는 인생 우리 양인은 화목하게 웃으면서나 살세 다 : 낫 놓고 기역자 하늘 끝끝이 꺾어진 기와집 남포등잔이 별 줍듯 했는데 어느 문으루 들어가서나 임 상봉했나 마 : 한질둬질 석질넉질 다섯여섯 일곱여덟 아홉열질 되는 바위에다가 곤달걀을 붙이라면 붙였지 저기 가는 저 부녀에 말 붙이라면은 나는 못 붙이겠네 바 : 우리집 서방님은 잘났던지 못났던지 깎구깎구 머리 깎구 입구입구 양복 입구 차구차구 시계차구고 매구매구 넥타이 매구 신구신구 구두신구 씨구씨구 모자 씨구서 대화방림으로 화토치러 갔는데 오동 스물에 공산 삼십만 펄펄 일어주게 1)CD·3-27 참조. 2)어둔이골 : 정금1리에 있는 자연마을 이름. 3)거무노리 : 봄에 제일 먼저 나는 대표적인 나물. 잎뒤가 약간 검은 빛이 나며 잎 전체는 반질반질 하다. 물가에만 난다. 물가에 나는 나물은 이외에도 분주, 배뱅이, 만아꾸(노란꽃이 핀다), 미역취, 질겡이, 솔고지 등이 있다고 한다. 4)만반지수 : 상에 가득히 차린 귀하고 맛있는 음식. 5)거무→거미 : 여기서는 말랐다는 뜻이라 함. 6)시방시채 : 지금시대. 현재라는 뜻. 7)장정틀 : 상여채. 상여 밑에 큰 나무 두개를 앞뒤로 길게 뻗쳐놓은 것. 8)영월 평창 운교 지골 대화 방림 강릉은 모두 지명이다. 9)이통천 : 예전에 강릉시 경포대에 있는 선교장의 주인이었다고 한다. 선교장은 민가의 궁궐이라 할 수 있는 아흔 아홉칸 짜리 저택. 이통천은 아주 부자였기 때문에 인근에 까지 소문이 났다고 하는데 민요의 사설에도 자주 등장하며 특히 새쫓는소리에서 많이 나온다. 10)예전에는 경포호수가 선교장 앞에 까지 들어와 있었기 때문에 집으로 들어 가려면 배를 타거나 다리를 건너야 했다고 한다. 11)들장떼 : 잔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