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군밤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횡성군 우천면 정금리 쇠끔의 군밤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엄영태, 우영진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엄영태, 우영진 |
지역개관 | 정금2리는 88가구에 300여 명이 살고 있으며 밀말, 응달말, 큰터, 샛당, 바라골, 구렁말, 대숲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논과 밭은 각각 반반으로 담배·고추·호박 등 특용작물을 많이 재배한다. 정금1리는 73가구가 살고 있으며 장터, 양지말, 머둔골, 쇠꿈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정금이라는 이름은 마을의 형태가 솥처럼 생긴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논이 있는 들은 눈무레이들, 새담들, 당들, 탑들, 용구들 등이다. 횡성회다지소리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대통령상을 받으면서 외부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현재 마을에는 민속관이 있으며 1994년 민속마을로 지정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정금리 쇠끔에서 채집한 군밤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엄영태, 우영진이 참여하였다. 흔히 알고 있는 군밤타령과는 다른 군밤타령이다. |
가사 | (후렴) 에헤야 군밤아 돈지돈지 도돈지 여리고
설 삶은 밤이냐 군밤아 저 근네 저 집이 늙은이 이 근네 이 집이 늙은이 요 집 조 집 두 늙은이가 노파람1) 비비다 곤곤드러졌구나 군밤아 에헤여 군밤아 돈지돈지 도돈지 여리고 설 삶은 밤이냐 군밤아 저 근네 저 집이 고양이 이 근네 이 집이 고양이 요 집 조 집 두 고양이가 고약쥐 한 마릴 물어다 놓구서 곤곤드러졌구나 군밤아 에헤여 군밤아 돈지돈지 도돈지 여리고 설 삶은 밤이냐 군밤아 저 근네 저 집이 총각 이 근네 이 집이 총각 요 집 조 집 두 총각이 처녀 하나를 업어다 놓구서 곤곤드러졌구나 군밤아 에헤여 군밤아 돈지돈지 도돈지 여리고 설 삶은 밤이냐 군밤아 1)노파람: 노끈. 끈이 길어서 파람이라 한다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