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미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횡성군 횡성읍 추동리 가래울의 모심는소리-미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승달, 김종억, 김경석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신승달, 나/김종억, 다/김경석 |
지역개관 | 추동리는 버덩가래울, 안가래울로 형성된 마을이다. 옛부터 가래나무가 많아서 추동리라고 했다. 논이 있는 들은 왕가래, 웃가래울, 광지랭이골, 검은들, 고내미골, 아랫들 등이다. 현재 100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이 중에서 70~80가구가 농사를 짓고 있다. (영영포리는 70여 가구가 거주하며 이 마을은 노인정이 따로 없어서 추동리로 온다.) 마을의 논과 밭은 각각 반반이고 콩·팥·단호박·배추·무·고추·참깨·들깨 등을 재배하는데 단호박은 특용작물로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동제는 버덩가래울, 안가래울이 따로 지내며 농악대가 참여하는데 해마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정해놓고 지낸다. 농악대는 사물(징, 북, 장구, 꽹과리)이 참여한다. 제물은 떡과 돼지머리 등을 쓰며, 축을 읽고, 소지를 올리는데 우마도 함께 축원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추동리 가래울에서 채집한 미나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승달, 김종억, 김경석이 참여하였다. 횡성군 우천면 정금리의 다듬어진 모심는소리-미나리와 비교해 들을 만한 미나리. 특히 신승달어른이 부르는 미나리는 가창법이 독특한 것이 주목된다. |
가사 | 가 : 심어야 심어주게 심어주게 / 오종종 에에에 줄모루 심어주게
다 : 강초에 일일에 한소생하니1) / 강물만 에에에 푸르러도 고향생각 가 : 삼상에 백우는 삼상계요2) /수중에 에에 명월이 수중주라다 다 : 넘어가네 에야 넘어가네 넘어가네 돌 넘어가네 / 이 읎는 에에에에 남박에 돌 넘어가네 가 : 천중에 세월은 인증수요3) / 춘만이 에에 건곤이나 복만개요4) 다 : 에헤이요 에이 동산에 달 떠야 좋지 / 임산에요 에에 달 뜬건 매맞을 징조 가 : 명사야 십리 해당화는 / 꽃이나 에에 진다고 서러워 마라 다 : 꽃은 에에이 꺾어서 머리에 꽂고 / 산에 올라서 들구경 하지 가 : 꽃이야 지면은 아주 지나 / 명년에 에에 춘삼월 또 피어오네 다 : 오늘에여 에 해도나 다가는지 / 골골에 에에 마당에 그늘이 지네 가 : 월백에 설백에 천지백하니5) / 산심에 에에 야심이 객수심이라네6) 가 : 양구야 양천에 흐르구 나리는 물에 / 배추 에에 씻는 이 저 큰아가 가 : 겉대야 겉잎을 다 젖혀 놓고 / 속대야 에에 속잎을 나를 주게 가 : 산천이야 고와서 돌려다 봤나 / 임 계신 곶이라 돌려다 봤지 가 : 울긋에 불긋에 갑사댕기 / 곤때도 에에 안 묻어 쥔애비 왔네 1)江草日日 喚愁生. 2)삼상에 백우는 삼상계요 : ? 3)天增歲月人增壽. 4)春滿乾坤福滿家. 5)月白雪白天地白. 금강산 노승이 지었다는 시의 한귀절. 6)山深夜深 客愁深. 김삿갓(金笠)의 시 한귀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