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횡성군 횡성읍 추동리 가래울의 고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동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동운 |
지역개관 | 추동리는 버덩가래울, 안가래울로 형성된 마을이다. 옛부터 가래나무가 많아서 추동리라고 했다. 논이 있는 들은 왕가래, 웃가래울, 광지랭이골, 검은들, 고내미골, 아랫들 등이다. 현재 100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이 중에서 70~80가구가 농사를 짓고 있다. (영영포리는 70여 가구가 거주하며 이 마을은 노인정이 따로 없어서 추동리로 온다.) 마을의 논과 밭은 각각 반반이고 콩·팥·단호박·배추·무·고추·참깨·들깨 등을 재배하는데 단호박은 특용작물로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동제는 버덩가래울, 안가래울이 따로 지내며 농악대가 참여하는데 해마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정해놓고 지낸다. 농악대는 사물(징, 북, 장구, 꽹과리)이 참여한다. 제물은 떡과 돼지머리 등을 쓰며, 축을 읽고, 소지를 올리는데 우마도 함께 축원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추동리 가래울에서 채집한 고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동운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가사_한국민요대전_0289.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