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통나무목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가평군 외서면 대성1리의 통나무목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완수, 김보경, 최무웅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완수, 김보경, 최무웅 |
지역개관 | 가평군 외서면 대성1리의 가구 수는 130호 정도이고 대성 1리는 5개 반으로 나눠졌다. 청량리에서 춘천으로 오가는 열차가 이 마을 옆을 지나고 있다. 마을 주민들 중에는 유원지를 경영하기도 하고 농사를 짓거나 고기를 잡는 사람도 있다. 요즘은 상업에 종사하거나 회사에 다니는 사람이 늘고 있는 편이다. 예전엔 두레도 형성돼 있었으나 지금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정초에 고사를 지내는 풍습만 남아있다. 40여 년 전 철도를 만들고 청평댐을 만들 때 목도소리를 많이 불렀다고 한다. 그 예전 뗏목배도 많이 타고, 그때 부른 노래도 꽤 있었는데 지금 그 노래를 기억하는 사람은 없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6일에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외서면) 대성1리에서 채집한 통나무목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완수, 김보경, 최무웅이 참여하였다. 선소리는 한 사람이, 받는 소리는 두 사람이 불러 주었다. 일시에 힘을 많이 들이는 중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여서 의미있는 사설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또한 받는 소리의 사설이 일정하지 않고 함께 부르는 가창자간에도 서로 조금씩 다르다. 받는 소리를 부른 두 가창자 중 소리가 큰 한 가창자의 사설만을 기록했다. 발 맞추는 동작과 음악의 박자가 잘 맞는다. 목도소리는 전국 어디서나 비슷한 선율형태(메나리조)로 되어 있다. |
가사 | 허어져어어어어어어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차아아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차게 허이져차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차아 허이져어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아이구나 무겁네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다리가 떨리네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치기 허이져차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아이구나 배고파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아이구나 목마르네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치기 허이져차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차 허이져차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차 허이져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아이구나 무겁다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아이구나 무거와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치기 허이져차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엉 허이져차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막걸리 한 잔을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먹고나 하자꾸나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허이져차 허이져 허이져차 허이져(허어어어 허어어어어어) 잠깐 쉬어 가자,놓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