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가평군 가평읍 금대리의 밭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석봉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석봉 |
지역개관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금대리는 옛날에는 비렁대, 빌어터라고 불리었는데 지금은 금대리라고만 한다. 노인회관 근처에 잔디고개가 있는데 금대리는 여기서 유래된 지명으로 추측된다. 춘성군 남산면과의 경계마을로서 북한강이 그 사이를 지나고 있는데 3년 전 까지만 해도 나룻배가 있었다. 100여 호 되던 가구수가 이제는 70여 호 남았고 금대 초등학교도 있었는데 폐교되고 복장 초등학교로 통합되었다. 주민의 8할 정도가 농사를 짓고 있으며 논농사 외에 고추와 옥수수 농사를 많이 한다. 안동 김씨가 대성으로 30호가 넘는다. 가평 가는 버스가 네 번 있는데 주민들은 별 불편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옛날에는 농악을 잘 쳐 군 대항에서 1등도 하던 마을이었는데 6,7년 전부터 없어지고 가물만 남아 있다. 정월에 날을 받아서 드리던 치성을 10년전부터 구일제사로 바꾸어 매년 음력 9월 9일에 제를 지낸다. 5년 전에는 제사 지내던 터에 슬레트로 제각도 지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7일에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금대리에서 채집한 밭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석봉이 참여하였다. 써레질 때는 소 한 마리로 하고 밭갈이 때는 두 마리로 일하기 때문에 이를 각기 외써레질, 쌍겨리라고 한다. 가창자는 화전밭을 갈 때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이랴아 아냐 와냐 이랴아아아 에에이 이 놈의 소
아냐 와 마-- 이랴아 어여 어어어어 어에에 에헤이 오오 호호 에헤이 오 호호 : 오오 호호나 에에 에헤에는 돌아서 가자는 뜻이다. 어디를 가 오오 오이 오오 호오 올라서 아아 하아 에에 에에이 이랴아 마 마 마 마 허어 허어 어디를 가나 호오오 오오 호오 에헤에 오냐 와아아 이 놈의 소들이 왜 올라갔다 내렸갔다 해 이놈의~해 : 비탈길에서 소가 나란히 가지 못할 때 들어가는 사설이다. 오냐 오 아아 곧게 나가지 못허구 에 에헤이 이랴아 오호 호오 에에야 어디를 가나 오오오 에에 헤에 에에 아냐 오 아냐 오 마 마 너무 올라선다 아냐 아아 에에 에헤에 오오 호오 마 마 마 마 오호 호오 에에에 참 잘 간다 이랴아 이랴 아냐 마 마 마 마 에에 에헤에 아냐 아아 에에 어허어어 에에 어디를 갈아 아냐 아아 이랴아 아냐 와 아아 이 놈의 소들이 웬 (발갱이?)이여 발갱 : 발광. 에에 헤에 오냐 와아 마 마 마 에에에 오호 호오 어디를 갈아 오오 마 마 와냐 와 에에 헤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