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가평군 하면 노인정의 밭매는소리-미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장동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장동 |
지역개관 | 경기도 가평군 하면 노인정은 이전에는 늠뱅이라고 불렀는데 왜 그렇게 불렀는지는 알 길이 없다. 60여 가구에 100호 정도 되는데 주로 노인들만 살고 있다. 농사는 논, 밭 겸하는데 농사 짓는 가구는 20호 미만이며 대부분 공사장에서 일용노동자로 일하거나 상업에 종사한다. 인접한 현 1리가 옛날에 장거리여서 현 6리도 번화한 편에 속한다. 버스는 하루에 여섯 번 다니는데 근처에 서울가는 직행 버스 터미널이 있어 교통은 편리하다. 주민들은 각성바지이다.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꽤 있는 반면 동제도 남아 있다. 구제 낭구라고 불리는 은행나무 앞에서 매년 가을 좋은 날을 가려 뽑아 제를 지내는데, 이 마을이 도깨비혈이라서 개를 잡아 제를 지내는 것이 특징이며 동제의 명칭도 구제(狗祭)이다. 도깨비가 개를 좋아한다는 데서 유래된 듯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8일에 경기도 가평군 하면 노인정에서 채집한 미나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장동이 참여하였다. 미나리는 밭맬 때나 논맬 때 부른다. 원래는 여럿이 하는 노래인데 혼자서 선소리만 부른 것이다. 화전밭에서는 보통 7~8명이 함께 일을 했다고 한다. 매우 오래된 민요라는 점은 불규칙 박자로 짜여지고 템포가 느린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메나리조의 원초적인 선율형태이다. |
가사 | 미나리가 간다마는 벗할 친구가 전혀 없네
받기는 내 받으께 요 내 돔배를 돌러 주오 돔배는 둘러는 겉질 않고 아들 매기가 어렵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