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가평군 상면 상동리 노인정의 밭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기병, 김만석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기병, 김만석 |
지역개관 | 서릿골, 도라위, 불기, 세 마을이 합쳐진 상동리는 원래 100여 호가 넘던 곳인데 이제는 70~80호만 남아 있다. 논농사가 전체 농사의 1/3을 차지하며, 조, 콩, 팥, 옥시기, 깨 등 밭농사 위주이다. 양어장을 하거나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주민들도 있다. 전에는 화전밭도 많았으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버스가 하루에 아홉 번 있는데 현리 지나서 서울로 가는 노선이 있고 광릉내로 가는 노선이 있다. 마을에는 초등학교가 하나 있다. 민속놀이는 남아 있지 않다. 8,9년 전에는 면에서 1등도 하는 등 농악이 성했으나 노래꾼들이 모두 서울로 나가거나 작고해서 4년 전부터 농악이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서릿골은 가주산에 있는 서낭에서 돼지를 잡아 매년 산치성을 드린다. 불기에서는 산제를 지내지 않아서 사고가 났다 하여 주금산에 산제를 지내는데 주금산이 女山이라서 흰 수탉을 잡는 것이 특징이다. 안양 김씨가 대성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8일에 경기도 가평군 상면 상동리 노인정에서 채집한 밭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기병, 김만석이 참여하였다. 한식 때는 채마밭을 갈고 망종 때는 써레질을 한다. 양력 4월 10일부터 5월 중순까지는 소가 매우 바쁘다. 밭을 가는 일은 힘이 들어서 소는 발이 죄다 벗어지고 사람도 발이 갈라진다. 가창자는 고생하던 생각이 나서 눈물이 난다고 했다. ( ) 부분은 노래가 아닌 말로 했다. |
가사 | 이랴아
어져어 어디루 가느냐 어디로 가나 어디로 가나 이랴아 으 어 져어 힘이 드니 비척비척 대지 말구 바루 나가자 어 디여어 어으 어 뎌차 배가 고프냐 왜 맥을 못 씨구 돌지를 않느냐 어 져어 이랴아이 이이 어어이 오오 이1) 어져 차아 돌았으면 또 나가 보자 이랴 으 이 안소야 정신 차려라 어 져어 한눈 파지 말구 바루 나가세 어어져차 밭고랑이 꾸불꾸불 해진다 바루 끌어요 어져 어이 이랴아 어러이 어져차 힘이 드는구나 힘이 드네 침을 막 흘린다 그러면 잠깐 쉬어가세 어여 갈고 점심 먹으러 가자 솥이 빠졌나 밥을 안 가지고 오네 어뎌차 어 차 또 돌렸네요 이랴아 이랴아 해는 져오고 이랴아 이랴 어 저물었는데 이랴 빨리 갈구 저녁 먹으러 가세 어서 가자 이랴아 이랴 이 소야 못다 갈면 안된다 이랴아 어이 오늘 밭은 다 갈아야 된다 이랴아--어이 시간이 넘어두 얼른 갈세 해는 다 갔으니 어서 가자 이랴아 이랴 이 소야 워 워 (인자 힘들었네 다 갈았네) 어으 (다 갈었어) (좀 쉬어요) 1) 이 부분은 두 사람이 함께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