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질하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 부조의 말질하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명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신명하 |
지역개관 |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 부조는 이전에는 마근데미와 구신(九臣)골로 나뉘어 있었다. 마근데미는 토성(土城)자리가 막혔다 터졌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구신골은 상놈 아홉이 양반한테 부조하다가 망했다고 해서 구신골 부조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가구수는 320여 호되며 각성바지다. 주민들은 농업, 상업, 공업 등 다양한 작업을 고루 가지고 있다. 대통령만 없고 직업이 대 제각각이라고 한다. 읍과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고비교적 번화한 마을이다. 3년에 한번씩 음력 10월에 산신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6일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 부조에서 채집한 말질하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명하가 참여하였다. 볏섬에 말질을 해서 벼를 퍼 담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볏섬은 짚으로 엉성하게 짠 이영 같은 가마니를 말한다. 털어낸 벼를 말로 되서 볏섬에 담으면서 수를 세는 소리다. 한 말을 세면 딸을 낳는다고 하여 한 말은 그냥 담고 두 말부터 센다. |
가사 | 나이 두 말 두울 서 말 서이 너 말 너 말 다섯
다섯 엿 말 여섯 일곱 일곱 여덟 여덟 아홉 아홉 열 말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