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바디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의 고기푸는소리-바디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용승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조용승 외 |
지역개관 |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은 바닷가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이다. 이전에는 황천리 포구가 번성해서 배도 많았고 부자도 많았다. 연백으로 마른 새우를 팔러 다니는 상인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바닷가와 접하고 있는 황청 2리에서만 어업을 하고 있고 수토골에서는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다. 가구수는 70여 호되며 대부분 논농사 위주이나 고추 참깨도 약간씩 재배하며 영지버섯도 재배한다. 아주머니들은 화문석도 짠다. 경주 배씨, 경주 최씨 등이 대성이다. 매년 2월 초하루에 온동네 분들이 모여 풍년을 기원하는 들고사를 지내고 있다. 소리를 잘 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7일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에서 채집한 바디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용승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조기를 그물바디로 배에 퍼 실을 때 하는 소리다. 바디란 고기를 옮겨 담을 때 사용하는 도구의 이름으로 이 작업과정에서 도구의 이름을 앞에 붙인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소박한 내용의 사설에 풍어의 기쁨이 잘 나타나 있다. 뱃노래의 일종으로 미음게로 짜여져 있다. 한소절(4/?)씩 메기고 받는 규칙형의 노래이다. |
가사 | 어야 바디야
에이야 바디야 이 바디가 웬 바디야 에이야 바디야 우리 배 임자 돈바디로다 에이야 바디야 신부자(新富者) 났네 신부자 났어 에이야 바디야 우리 배 임자 신부자 났구나 에이야 바디야 오동추야(梧桐秋夜) 달밝은 밤에 에이야 바디야 조기배 퍼 싣기가 재미가 난다 에이야 바디야 일몰에는 이백 동1)이요 에이야 바디야 썰물에는 삼백 동일세 에이야 바디야 백동 이백동 퍼실어 놓네 에이야 바디야 우리 유덕2) 만선(滿船)이 됐구나 에이야 바디야 (자 만선 됐으니 배 띠세) 1) 동 : 고기를 세는 단위. 열마리는 한 뭇, 백 뭇은 한 동임. 2) 유덕선 : 배의 일종으로 고기잡이를 하는 중선을 일컬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