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치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의 배치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용승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조용승 외 |
지역개관 |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은 바닷가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이다. 이전에는 황천리 포구가 번성해서 배도 많았고 부자도 많았다. 연백으로 마른 새우를 팔러 다니는 상인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바닷가와 접하고 있는 황청 2리에서만 어업을 하고 있고 수토골에서는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다. 가구수는 70여 호되며 대부분 논농사 위주이나 고추 참깨도 약간씩 재배하며 영지버섯도 재배한다. 아주머니들은 화문석도 짠다. 경주 배씨, 경주 최씨 등이 대성이다. 매년 2월 초하루에 온동네 분들이 모여 풍년을 기원하는 들고사를 지내고 있다. 소리를 잘 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7일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에서 채집한 배치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용승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한강을 거슬러 올라간 시선배가 마포 객주집에 이르면 배 위에서는 풍어를 알리는 신호로 꽹과리, 호적, 징, 북이 등장하여 풍물놀이와 선상 배치기소리로 흥을 돋운다. 배가 육지에 닿으면 선주와 그 부인은 동네 사람들과 함께 술동이를 이고 춤을 추며 마중을 나오고 봉죽을 앞세우고 행진을 한 선원들은 봉죽을 객주집에 선사하기도 하면서 한바탕 논다. |
가사 | 나갔던 유덕선 돌아드니 강화 일경에 돈 풍년 들었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어어어 에에에 어하요 명복을 빌었다 명복을 빌었어 우리 배 임자가 명복을 받았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어어어 에에에 어하요 아래 웃등 다 젖혀 놓고 가운데 등에서 도장원1) 했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에에에 어하요 밀물에 올라는 조기 쓰는 물2)에 나려가는 조기 우리 배 그물로 다 후려낸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어어어 에에에 어하요 암해수해3)를 맞맞춰 놓네 오십발 그물이 몽땅 오른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어어어 에에에 어하요 섣달 그믐날 꽂았던 봉죽4) 사월 물림5)에 또 꽂아 본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어어어 에에에 어하요 우리 배 임자 정성 덕에 서해 도장은 우리가 했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어어어 에에에 어하요 올라가는 당두리배6) 나려오는 시선배 우리 배 그물이 다 둘러쳤다 어어 에에야 어어 어기여 어어어 에에에 어하요 1) 도장원(都壯元) : 으뜸 가는 사람. 여기서는 고기를 제일 많이 잡은 사람을 뜻함. 2) 쓰는 물 : 썰물. 3) 암해수해 : 그물을 매는 기구로 암해는 물 속으로 들어가고 수해는 물 위로 올라온다. 4) 봉죽 : 뱃고사를 지낼 때 꽂는 깃발. 한지에 물감을 들여 길게 늘여뜨리고 꽃도 만들어 달아 화려하게 꾸밈. 5) 물림 : 그믐. 6) 당두리배 : 시선배보다 작은 운반선. 7) 시선배(柴船-) : 서해와 한강 하류를 오가던 짐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