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성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의 성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용승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조용승 외 |
지역개관 |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은 바닷가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이다. 이전에는 황천리 포구가 번성해서 배도 많았고 부자도 많았다. 연백으로 마른 새우를 팔러 다니는 상인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바닷가와 접하고 있는 황청 2리에서만 어업을 하고 있고 수토골에서는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다. 가구수는 70여 호되며 대부분 논농사 위주이나 고추 참깨도 약간씩 재배하며 영지버섯도 재배한다. 아주머니들은 화문석도 짠다. 경주 배씨, 경주 최씨 등이 대성이다. 매년 2월 초하루에 온동네 분들이 모여 풍년을 기원하는 들고사를 지내고 있다. 소리를 잘 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7일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에서 채집한 성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용승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성터를 다지거나 돈대를 쌓을 때 터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다. 강화도에는 돈대(墩臺)가 53개 있는데 돈대란 포진지를 말한다. 300년이 넘은 소리인데 지경다질 때도 가사만 바꿔서 한다. 북과 함께 소리를 한다. |
가사 | 어기여라 성터로다
어기여라 성터로다 천지는 동락이요 어기여라 성터로다 국호는 대한일세 어기여라 성터로다 경기도도 삽십칠관 어기여라 성터로다 강화도가 닥쳤구나 어기여라 성터로다 강화도를 밟알 보니 어기여라 성터로다 곤륜산(昆崙山)1)이 제일봉일세 어기여라 성터로다 곤륜산 난맥2)이 뚝 떨어졌소 어기여라 성터로다 어청 저청 나린 두줄기 어기여라 성터로다 그 줄기를 밟아보니 어기여라 성터로다 이 자리가 제일(第一) 대질(大地)세3) 어기여라 성터로다 이 자리에 성터를 닦아 어기여라 성터로다 성터 지경 다지누나 어기여라 성터로다 이 자리에 성을 쌓으면 어기여라 성터로다 대세 승리가 이 자리요 어기여라 성터로다 문필봉이 비쳤으니 어기여라 성터로다 문화유산이 풍부(豊富)쿠나 어기여라 성터로다 노적봉이 비쳤으니 어기여라 성터로다 군량미가 남아도네 어기여라 성터로다 장수봉이 비쳤으니 어기여라 성터로다 승승장구가 이 자리로다 어기여라 성터로다 제일진은 계룡돈대4) 어기여라 성터로다 제이진은 석각돈대 어기여라 성터로다 제삼진은 사망돈댈세 어기여라 성터로다 외포에는 망양돈대 어기여라 성터로다 양도에는 건평돈대 어기여라 성터로다 불은에는 지은돈대 어기여라 성터로다 강화에는 용두돈댈세 어기여라 성터로다 하점에는 망월돈대 어기여라 성터로다 양사에는 인화돈대 어기여라 성터로다 어이여라 성터로다 어기여라 성터로다 1) 곤륜산(昆崙山) :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신성한 산. 하늘에 이르는 높은 산, 서왕모(西王母)가 살며 불사(不死)의 물이 흐르는 산이라고 전해 옴. 2) 낙맥(落脈) : 큰 산맥에서 뻗어나온 산줄기. 3) 제일대질세 : 제일대지(第一大地)일세. 4) 돈대(墩臺) : 평지보다 약간 높직하게 쌓은 평평한 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