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의 고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용승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조용승 외 |
지역개관 |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은 바닷가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이다. 이전에는 황천리 포구가 번성해서 배도 많았고 부자도 많았다. 연백으로 마른 새우를 팔러 다니는 상인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바닷가와 접하고 있는 황청 2리에서만 어업을 하고 있고 수토골에서는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다. 가구수는 70여 호되며 대부분 논농사 위주이나 고추 참깨도 약간씩 재배하며 영지버섯도 재배한다. 아주머니들은 화문석도 짠다. 경주 배씨, 경주 최씨 등이 대성이다. 매년 2월 초하루에 온동네 분들이 모여 풍년을 기원하는 들고사를 지내고 있다. 소리를 잘 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7일에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수토골에서 채집한 고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용승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고사소리는 전문가들이 부르는 노래인데, 각 지역마다 그 특징이 다르다. |
가사 | 천개우기 하날되고
자기 좇아 땅생기니 오륜삼강이 으뜸이요 국태민안(國泰民安)은 범열자요1) 시화연풍(時和年豊)은2) 돌아든다 (꽹과리) 이씨 한양 등극시에 삼각산이 기봉되어 삼각산 난맥이3) 뚝 떨어져 어정저청 나린 줄기 봉황으로 뭉쳤구나 봉황이 되었으니 봉의 등에다 터를 닦고 학을 눌러 대궐 짓고 대궐 밖은 육조로다 무악산은 각 도읍하고 왕심산은 청룡되고 동구재 마루는 백호가 되니 이씨 한양 등극하여 오백년을 누려갈 때 정월달이라 드는 액은 정월이라 대보름날 액맥이 연으로 날려보내고 이월달에 드는 액은 이월이라 초하루닫이 쥐불놀이로 태워버리네 삼월달이라 드는 액은 삼월이라 삼짇날 화전놀이로 막아내고 사월달에 드는액은 사월이라 초파일에 연등(燃燈)놀이로 막아내누나 오월달에 드는 액은 오월이라 단오날 그네줄로 묶어 내고 유월달에 드는 액은 유월이라 유두날에 비강천등으로 몰아내누나 칠월달 허구두 드는 액은 칠월이라 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막아내고 팔월달에 드는액은 팔월이라 한가위날 생편4) 속에다 꾸려 내누나 구월달에 드는 액은 구월이라 구일날에 비만머리로 막아내고 시월달에 드는액은 시월이라 상달인데 고사반으로 막아내누나 구월달에5) 드는액은 동지달이라 동지날 동지 팥죽으로 막아내고 섣달이라 드는 액은 섣달이라 그믐날에 가래 흰떡으로 막아내누나 일년허구두 열두달 삼백허구두 육십오일 다달이 드는 액은 나날이 다 막아 냈으니 내내 신수는 대길(大吉)허리라 1) 범열자 : 범년자(凡年字). 2) 시화연풍(時和年豊) : 때가 고르고 해마다 풍년이 듦. 3) 낙맥(落脈) : 큰 산맥에서 뻗은 줄기. 4) 생편 : 송편. 5) 구월달에 ; 동지달을 잘못 부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