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투전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기타유희요 > 내기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포군 통진면 서암리 대서명의 곱새차기노래-투전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병화, 서유길, 염재철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병화, 서유길, 염재철 |
지역개관 | 김포군 통진면 서암리 대서명의 옛 이름은 서명굴이었다. 서쪽부터 밝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세대수는 240호 정도인데 농사짓는 집은 50세대밖에 안되고 나머지는 직장에 다닌다. 경기노의 여느 마을과 마찬가지로 장례의식때 부르는 노래를 잘 부르는 편이다. 호상일 경우에만 상가에서 부르는 투전 뒷풀이를 마을 사람들이 기억해내고 회다지 소리는 이 마을 노래가 좋다고 자찬을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6일에 경기도 김포시(김포군) 통진읍(통진면) 서암리 대서명에서 채집한 투전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병화, 서유길, 염재철이 참여하였다. 투전놀음의 일종인 곱새치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 노래를 투전불림이라고도 한다. 투전을 내면서 숫자에 해당하는 사설로 노래를 하면 다른 사람들은 패를 보지 않고도 경기를 한다. |
가사 | 파란 봉자 순헌 연은 이씨란다
무얼 내야 또 산단 말이냐 풀풀 물어 제끼어라 파라 파라 깊이 파라 얕이 파면 물 안난다 일 났다 봉천가자 무얼 내야 또 산단 말이냐 그대 불님 잘못 놨다 에 내 일러 이 아들은 튀전꾼이요 에 또 뭘 내야 산단 말이냐 사시행차 바쁜 길에 중간참이 늦어가는 구나 그 불님 잘못 놨어 넉살 좋은 건 강화년 화설로 또 왜 긴긴 밤 새느냐 오춘댁도 당숙모란다 무얼 내야 또 산단 말이냐 풀풀 물어제끼어라 그 으름 듣기 좋다 무얼 내야 산단 말이냐 풀풀 물어제끼어라 산이는 등에 길면 말 매지 마라 너만 살면 나도 산다 풀풀 물어 제끼어라 삼년탈상 새설움난다 뭘 내야 또 산단 말이냐 풀풀 물어 제끼어라 일 났다 봉천 가자 또 무얼 내야 산단 말이냐 풀풀 물어제끼어라 금줄배기는 파랑 보따리 파랑 보따리를 부생각일세 그대 부생각이 났구나요 금줄배기 너출배기라 이웃집 수주임네는 갑자생이라요 무얼 내야 산단 말이냐 내구 낼 자 없어 못 내는구나 육육봉 터진 봉이요 개미허리가 잘룩봉이요 피안도 모란봉이면 내것 불려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