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양시 구산동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양동환, 이동안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가창/양동환, 이동안 |
지역개관 | 경기도 고양시 구산동은 원래는 고양군 송포면 구산 2리 였는데 1992년 2월 1일 고양군이 시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지명으로 바뀌었다. 송산동에는 17통까지 있는데 13통은 마을을 에워싸고 있는 산이 있어 그 형상이 노루와 같다고 해서 노루 메산, 노루산, 장산이라고 불리며 마을 이름도 노루메라고 불린다. 제주 양씨, 전주 이씨가 대성으로 각각 30가구, 20가구로서 옛날부터 씨족 마을을 형성하고 있었다. 글나 1990년 홍수가 난 이후에 새로 집을 지으면서 세입자들이 늘어나 100여가구에 150세대 정도 되는데 이중 50세대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세입자들이라 동네 사람들간에 얼굴도 잘 모른다. 송산동에는 아파트가 많은데 13통은 그중에서도 오지라서 버스가 일정한 시간에 다니지 않아 교통이 불편하다. 3, 4년 전까지 도당굿을 했다. 노루메산에는 아직도 당집이 남아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7일에 경기도 고양시 구산동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양동환, 이동안이 참여하였다. 녹음을 할 때는 한 사람이 받는 소리를 불렀지만 원래는 한 사람이 선소리를 메기고 여러 사람이 받는 노래이다. 막모를 심을 때는 물론이고 줄모를 심을 때도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이런 소리를 하면서 일했다. 지금부터 10~15년 전쯤 이 마을에 이양기가 들어온 이후 모심는 소리를 부르지 않게 되었다. 위의 사설기록에는 반영하지 않았지만 각 숫자를 여러 음으로 나누어 길게 늘여 부른다. |
가사 | 열이로구나 하나 하나로구나 두울
두울 셋이라 셋이로구나하 네엣 네엣 다섯 다섯인데 여섯 여섯 일곱 일곱이로구나 여덟 여덟이로다 아홉 아홉이로구나 여헐 열이로구나 하나 하낣이로구나 두울 셋에 셋이로구나 네엣 넷이로구나 다섯 다섯이로구나 여섯 여섯이로구나 일곱 일곱인데 여덟 여덟 아홉 아홉이로구나 여헐 열이로구나 하나 하나로구나 두울 두울 세에라 셋이로구나 네엣 네에 다섯 다섯이로구나 여섯 여섯 일곱 일곱이로구나 여덟 여덟이로구나 아홉 아홉이로구나 여헐 열이로구나 열 하나 하낣이로구나 두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