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안성군 안성읍 석정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기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기복 |
지역개관 | 안성군은 경기도 최남단에 위치한 군으로서 동쪽은 이천군과 충청북도 음성군, 서쪽은 평택시와 송탄시, 남쪽은 충청남도 천원군과 충청남도 진천군, 북쪽은 용인군과 접하고 있다. 군의 동부에 차령산맥이 뻗어 있어 충청북도와 경계를 이루며 이 산맥이 갈라져 군내에 산과 구릉을 형성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7일에 경기도 안성시(안성군) 안성2동(안성읍) 석정동(석정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기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를 심으면서 하는 소리이다. 경기, 충남 일부지방에 분포하는 여기도 하나류의 소리다. |
가사 | (후렴) 여기도 하나 저화 저기도 또 하나
여기도 하나 저화 저기도 또 하나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내 한 말을 들어보게 여기도 하는 방인데1) 신발을 벗고서 들어오게 여기저기 꼽드래두 보기만 좋게두 꽂어주게 한폭 두폭 꼽드라두 삼배출2)짜리만 꽂어주게 여기도 하는 방에 소리하기루 심을 씨네 먼 데 사람 듣기도 좋게 구성지게도 불럴주게 길 가던 상인의 거동보소 농부소리에 길 멈춘다 헤에 서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큼이 남어드네 몬도싸기가3) 가차가니4) 자진 목소리5) 돌려보자 여기도 하나 저화 저기도 또 하나 손잽이로다6) 우겨주고 긴 손으로 둘러주게 장고배미를 빨리 심고 논둑 너머 넴겨가자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내 한 말을 들어보자 헤 우리 농부가 생겨날 제 농사 아니면 어디 난지 천하지대본은 농사허니 농사밖에도 또 있느냐 금년 농사도 작풍들고 많은 수확을 이뤄가네 에이 이이오 히흐흐 이오 1) 방 : 논배미를 뜻함. 2) 삼배출 : 한 마지기의 논에서, 곧 볍씨 한 말을 뿌려 벼 석섬을 거두는 것. 농사가 잘 되는 것을 상징하는 말. 2) 손잽이 : 오른손 쪽. 왼손은 모춤을 쥐고 있어 못손이라 한다. 3) 몬도싸기 : 논일이 거의 끝날 때쯤 일하는 사람들이 둥글게 울을 싸 점점 좁혀들면서 일을 끝내는 것을 말함. 이 때 부르는 노래는 박자가 촉급하고 일하는 속도도 빠름. 4) 가차가니 : 가까워가니. 5) 자진 목소리 : 잦은 소리를 뜻함. 6) 손잽이 : 오른손을 가리킴. 왼손에는 모를 들기 때문에 왼손은 못손이라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