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안성군 안성읍 석정리의 논매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남상만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남상만 |
지역개관 | 안성군은 경기도 최남단에 위치한 군으로서 동쪽은 이천군과 충청북도 음성군, 서쪽은 평택시와 송탄시, 남쪽은 충청남도 천원군과 충청남도 진천군, 북쪽은 용인군과 접하고 있다. 군의 동부에 차령산맥이 뻗어 있어 충청북도와 경계를 이루며 이 산맥이 갈라져 군내에 산과 구릉을 형성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7일에 경기도 안성시(안성군) 안성2동(안성읍) 석정동(석정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남상만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상사뎅이라고 불리워지는 이 곡은 가락이 흥겨운 만큼 논을 맬 때도 다리 걷고 춤추면서 했다고 한다. 같은 안성군인 호동마을에서 아시와 이듬매기 때 상사소리를 부르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전형적인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짜여져 있다. |
가사 |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여보시오나 농부님네 얼럴럴 상사데야 이내 한 말 들어보소 얼럴럴 상사데야 천하지대본에는 얼럴럴 상사데야 농사밖에 또 있는가 얼럴럴 상사데야 신농씨 본을 받어 얼럴럴 상사데야 높은 데는 밭을 풀고 얼럴럴 상사데야 낮은 데는 논을 풀어 얼럴럴 상사데야 물이나 총총 쏟아진가 얼럴럴 상사데야 물이 말랐다 건답이 얼럴럴 상사데야 이 논에는 무슨 벼 심었나 얼럴럴 상사데야 아래 웃녁에 증산별1) 심었나 얼럴럴 상사데야 여주 이천 자채별2) 심었나 얼럴럴 상사데야 한신 학의를 넉넉해진 논 얼럴럴 상사데야 춘추대본 본이로다3) 얼럴럴 상사데야 이 농사를 우리가 지어 얼럴럴 상사데야 부모처자를 봉양하고 얼럴럴 상사데야 부지중사4) 뜬 구름에 얼럴럴 상사데야 구시월 단풍에 떨어지듯 얼럴럴 상사데야 일년 추수를 마무리하네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5) 얼럴럴 상사데야 얼씨구나 절씨구나 얼럴럴 상사데야 참 잘 하네 참 잘도 하시네 얼럴럴 상사데야 몬도6) 손에 기분을 냅시다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옆을 보며 손을 주고 얼럴럴 상사데야 상사뎅이에다 힘을 쓰게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에헤이여 이히히히 얼럴럴 상사데야 1) 증산별 : 증산벼를. 증산벼는 소출이 많이 나는 벼. 2) 자채별 : 자채벼를. 자채벼는 올벼의 한가지로 품질이 좋으나 특별한 토양에서만 남. 3) 한신~본이로다 : (뜻 모름). 4) 부지중사 : 부춘산(富春山)의 와음인 듯. 부춘산은 중국 절강성에 있는 산 이름. 5) 이 부분 이후부터 박자가 촉급해짐. 6) 몬도 : 논매기를 끝낼 무렵 동그랗게 모여들면서 일을 끝낼 때 만드는 대형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