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곯았네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안성군 보개면 적가리 오림의 논매는소리-곯았네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종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종철 |
지역개관 | 경기도 안성군 보개면 적가리 오림은 옛날에는 큰적가리와 한동네였는데 큰적가리와 분리되면서 어림가리라고 불렀으나 왜 그렇게 불렸는지는 알 수 없다. 가구수는 21가구인데 주업인 농사를 하면서 축산, 담배, 버섯, 채소, 고추, 당근 등 여러 가지 부업을 하고 있다. 큰적가리는 순천 김씨가 대성인데 오림동은 각성바지이다. 버스는 30분에 한 대씩 온다. 농악이 성해서 정월 보름에 달맞이하면서 농악도 놀았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근처에 큰 교회가 있으나 이 동네에서는 한 집만 다니며, 서낭이 하나 남아 있기는 하나 모시지는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18일에 경기도 안성군 보개면 적가리 오림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종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오림동에서는 아이 매기에서 찍어매야, 이듬 매기는 상사뎅이, 세벌 때는 곯았네를 각각 부른다. 여기서는 세벌 때 방개타령은 별로 안했다 한다. 안성지방과 같이 논매는 소리가 초벌 두벌 세벌로 구분되어 있는 것은 그만큼 일노래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
가사 | (후렴) 헤헤 곯었네야 어하 슬슬 둘러라
헤헤 곯었네1) 어하 슬슬 둘러라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내 한 말 들어보소 잘도 하시네 참 잘도 하시네 이내 솜씨에 잘도 하시네 손끝에다가 힘을 주고 입에서는 소리를 하세 곰배 허리를 굽실굽실 넘실하게도 훔쳐내세2)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우리 농부님 신이 났네 호미를 꽁무니 차고 손으로 둘러 농사를 지세 이 논배미를 다 맸으니 장고배미로 올라갔나 곯었나 곯었지 에루화 두르기 좋네 에헤 곯었네 어하 슬슬 둘러라 다 되였네 다 되였네 장고배미도 다 넘어가네 1) 곯었네: 초벌매기 때 호미로 파엎은 잡초가 삭아서 흐물흐물해졌다는 뜻. 2) 훔치다: 손으로 흙과 잡초를 문질러 훑어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