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평군 단월면 석산리 물레울의 밭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백승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백승관 |
지역개관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석산리 물레울은 수려한 산세가 마을을 에워싸고 있는 경관이 좋은 마을이지만 근처에 독수리같이 생긴 소라산이라는 바위가 마을을 내려다보고 있어 그 독수리가 부리로 이 동네를 찍어서 저 건너로 넘기는 형상이라고 한다. 그 때문에 부자인 건너 마을과는 달리 이 마을은 계속 가난 했는데 3년 전에 소리산이 무너져 이제는 부자 마을이 될 것이라고 마을 사람들이 말한다. 화전민들로 이루어진 이 마을은 예전엔 90여호 되었으나 지금은 40여 호 남아 있고, 그 중 15가구 정도는 아주머니들만 살고 있다. 마을 사람 대부분이 논농사에 의존하고 있으나 도회지로 나간 자녀들이 생활비를 보내와 농사일은 소일거리로 하는 집이 많다. 논농사 외에도 잎담배를 재배하거나 산에서 취나물을 뜯어다 팔기도 한다. 마을 어귀에 서낭이 있어 칠석날에 산신제를 지내는 외에 특별한 민속놀이는 남아 있는 것이 없다. 마을 경관이 좋아 서울 사람들 별장이 많이 들어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31일에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석산리 물레울에서 채집한 밭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백승관이 참여하였다. 화전밭은 비탈져서 사람이나 소나 밭갈기가 매우 힘들다. 안소는 마라소보다 더 힘이 들기 때문에 힘이 좋은 소를 안소로 택한다. 안소와 마라소의 균형이 잘 맞아야 나란히 밭을 갈 수 있는데 안소가 힘이 없어지면 두 소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게 된다. 이럴 때 마라소를 제지하고 안소를 부추겨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이 소야 늠성대질 말아라. 이러 안소 올라서” 하는 식의 사설을 부른다. 소를 몰면서 밭가는 동작의 묘사가 잘 나타나 있다. 메나리조로 된 것은 가장 원초적인 음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가사 | 이러 이러이러이러이러 어져어에 이러이러이러
이러에 이러 안소 마라소1) 접어들면서 이러이 이러이러이러 어저에 거저거저거저 호호 썩 들어만 들어가서 이러이러이러 오호 어라 이라 마마마 마마마마 이어 이 소야 넘성거리지를 말면서 이러 안소 얼릉 올라서 이러이 이 이러이러 마마마마마 아 이거 이 왔다갔다 해 이거 어저 어지 1) 안소 마라소 : 소 두 마리로 일을 할 때 왼쪽 소를 안소, 오른쪽 소를 마라소라 부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