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삶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의 논삶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봉섭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봉섭 |
지역개관 |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는 강원도에 인접한 조용한 마을로서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집들이 드문드문 흩어져 있다. 가구수는 50호 가량 되며 이 중 40여호는 농사를 짓는다. 밭에는 집에서 먹는 콩, 팥, 깨 등을 재배하고 있고, 소규모로 인삼이나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거나 축산을 하는 경우도 있다. 용두리로 나가는 버스가 하루에 두 번 들어왔다 나가 교통이 불편한 편이다. 가까이에 절이 있어 마을 사람 대부분이 절에 다니며 매년 동짓달에 날을 받아 갈기산 당집에서 치성을 드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1일에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봉섭이 참여하였다. 소를 몰며 논을 고를 때 부르는 소리이다. 논을 고를 때는 써레를 쓰기 때문에 이 노래를 써레질소리라고 하고 또한 소 두 마리를 부리면서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쌍겨리 소리 라고도한다. 양력으로 4월 초순에 논을 갈아 엎고 5월 초순에 물을 댄 뒤 바로 써레질을 한다. 소를 한 마리만 부려 논을 고를 때는 이러이러 어디어디하는 식의 단순한 사설만 부르고 소를 두 마리 부릴 때는 이 노래처럼 의미를 지닌 사설을 넣어가며 부른다. |
가사 | 이러 이러 어디 아냐 저 안소1) 슬슬 돌얼 가면서 어디 마라마마
안소야 밀지 이러 어후 오오 어디여 이러허이 마라야2) 민다에 어디히 어후오오 앞 두덩을 넘지 말면서 어디히 이러히 이러 디 어후우우우 돌아만 시거라3) 이러 저 안소 마라야 밀지 말어라 이러 어어 이러 안소야 단니면서 어후 우우후후 어디여에 어느 저 소야 1) 안소 : 왼쪽 소. 2) 마라야 : 오른쪽 소를 부르는 말. 3) 시거라 : 서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