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목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의 목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영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신영묵 |
지역개관 |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는 강원도에 인접한 조용한 마을로서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집들이 드문드문 흩어져 있다. 가구수는 50호 가량 되며 이 중 40여호는 농사를 짓는다. 밭에는 집에서 먹는 콩, 팥, 깨 등을 재배하고 있고, 소규모로 인삼이나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거나 축산을 하는 경우도 있다. 용두리로 나가는 버스가 하루에 두 번 들어왔다 나가 교통이 불편한 편이다. 가까이에 절이 있어 마을 사람 대부분이 절에 다니며 매년 동짓달에 날을 받아 갈기산 당집에서 치성을 드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1일에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에서 채집한 목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영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나무나 돌 등 무거운 물건을 밧줄로 얽어 어깨에 메고 옮길 때 쓰는 길이 1미터 가량의 굵은 몽둥이를 목도채라고 한다. 물건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2명 또는 4~5명이 함께 메는데 일하는 사람들끼리 호흡이 일치되어야 하므로 노래가 필요하다. |
가사 | 어기정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어디어디 어여차 어영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어기정 어여차 어여창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어기정 어여차 저기 가는 저 여자 어여차 나를 보고 질 못 가네 어여차 어기정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저기 가는 저 사람 어여치기 모자 똑바루 씨구 가게 어여차 어기정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저기 가는 저 사람 어여차 술을 한 잔들 먹던지 어여차 술이 취한게롱 어여차 삐딱삐딱하게 잘두 가네 어여차 에 팔도 어여차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어기정차 어여차 힘두 들구 어여차 어기정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어기여 목도 아프지 어여차 신선같은 어여차 목도채는 어여차 무겁지두 아니하구 어여차 저기 가는 저 여사1) 어여차 힘이 든다구 어여차 노래 한마디 없구나 어여차 어기정 어여차 어기차 어여차 어기정 어여차 치기치기 어여차 힘두 들구 어여차 쉬어 가세 어여차 1) 여사 : 여자를 잘못 발음한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