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의 나물하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전사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전사순 |
지역개관 |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는 강원도에 인접한 조용한 마을로서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집들이 드문드문 흩어져 있다. 가구수는 50호 가량 되며 이 중 40여호는 농사를 짓는다. 밭에는 집에서 먹는 콩, 팥, 깨 등을 재배하고 있고, 소규모로 인삼이나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거나 축산을 하는 경우도 있다. 용두리로 나가는 버스가 하루에 두 번 들어왔다 나가 교통이 불편한 편이다. 가까이에 절이 있어 마을 사람 대부분이 절에 다니며 매년 동짓달에 날을 받아 갈기산 당집에서 치성을 드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1일에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신론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사순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참나물1) 모시대2) 씨러진 골로 우리나 삼동세3) 보나물4) 가세
안들미 갈따리5) 씨러진 골로 우리나 삼형제 꼴비러 가세 아우라지야6) 뱃사공아 배 좀 돌려주게 싸리밭골 올동박이나7) 다 떨어진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날만 넴겨주게 정선읍내야 물레방아는 사구삼십육 서른육바쿠 물살을 안고서 비리빙글 도는데 우리 님은 다 날 안고 돌 줄 왜 몰라 산지8) 뒷산에 곤드레9) 딱지가10) 나지미만11) 겉다면 봄 살어 나가기는 걱정없겠다만 1) 참나물 :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 어린 잎은 나물로 하여 먹으면 흉년에는 구황용임. 2) 모시대 : 초롱꽃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 3) 삼동세 : 삼동서. 4) 보나물(褓-) : 보자기를 가지고 나물을 캐오는 데서 나온 말. 5) 갈따리 : 개울가에 나는 긴 풀. 6) 아우라지 : 두 강이 한데 모이는 지점. 7) 올동박 : 올동백. 8) 산지 : 한치의 와음인 듯. 한치는 정선 부근의 지명으로 아라리 사설에서 흔히 나옴. 9) 곤드레 : 산나물의 이름. 10) 딱지 : 장미꽃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 11) 나지미 : 임의 일본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