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의 논매는소리-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민영홍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민영홍 |
지역개관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는 옛날부터 이곳에는 매화꽃이 떨어지는 자리가 있다고 전해져 내려오나 지관이 아직도 그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하며 이 때문에 이 마을은 매월(梅月)리라고 불린다. 매월리는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의 하나인 광안 마을은 넓을 광(廣)자에 바위 안(岸)자를 쓰며 넓은 바우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구수는 100여 호 되며 대부분의 가구가 논농사를 짓고 있으나 오이나 콩, 고추 등을 재배하는 비닐 하우스가 주 수입원이 되고 있다. 마을 옆으로 중앙선이 지나며 마을 어귀에 매곡역이 있다. 교통편은 주로 상행, 하행 각 3번씩 있는 철도에 의존하며 버스는 면소재지에서 학생들을 통학시키는 통학 버스뿐이다. 경주 이씨에서 분파했다는 원주 이씨가 대성이며 특별한 민속놀이나 동제는 남아 있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1일에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에서 채집한 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민영홍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보통 논을 두 번 매는데 초벌은 아이 또는 아이벌이라고 하는 두벌은 재벌이라고 한다. 초벌 때는 호미로 피를 찍어 넘기고 두벌 때는 손으로 풀을 뽑으면서 논을 훔치고 주무른다. 이 노래는 초벌 때 부르는 노래로 아이 논매는 소리라고도 한다. |
가사 | 오호호오야 에헤야 오호호호 이이이야
어어허헤 에헤야 에헤에헤 에헤이야 여보세요 농부님네 이내 말쌈 들어보소 어어허헤 에헤야 에헤에헤 에헤이야 농자는두 천하지대본 농사 한철 지어보세 어어허헤 에헤야 에헤에헤 에헤이야 춘하추동 사시절은 소시행락1) 이 아닌가 어어허헤 에헤야 에헤에헤 에헤이야 국태민안2) 시화연풍3) 농사한철 지어보세 어어허헤 에헤야 에헤에헤 에헤이야 이 논자리 얼른 매고 막걸리들 잡숩시다. 어어허헤 에헤야 에헤에헤 에헤이야 1) 소시행락(少時行樂) : 젊어서 즐겁게 지냄. 2) 국태민안(國泰民安)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평안함. 3) 시화연풍(時和年豊) : 시절이 조화롭고 곡식이 잘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