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의 나물하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성월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성월선 |
지역개관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는 옛날부터 이곳에는 매화꽃이 떨어지는 자리가 있다고 전해져 내려오나 지관이 아직도 그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하며 이 때문에 이 마을은 매월(梅月)리라고 불린다. 매월리는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의 하나인 광안 마을은 넓을 광(廣)자에 바위 안(岸)자를 쓰며 넓은 바우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구수는 100여 호 되며 대부분의 가구가 논농사를 짓고 있으나 오이나 콩, 고추 등을 재배하는 비닐 하우스가 주 수입원이 되고 있다. 마을 옆으로 중앙선이 지나며 마을 어귀에 매곡역이 있다. 교통편은 주로 상행, 하행 각 3번씩 있는 철도에 의존하며 버스는 면소재지에서 학생들을 통학시키는 통학 버스뿐이다. 경주 이씨에서 분파했다는 원주 이씨가 대성이며 특별한 민속놀이나 동제는 남아 있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1일에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성월선이 참여하였다. |
가사 | 나물을 갑시다 나물을 갑시다
뒷동산으로 우리야 삼동세 보나물을1) 갑시다 너하고 나하고서 단둘이 갑시다 뒷집이 김도령은 누구를 찾어서 가는지 앞뒤를 분견치2) 못하고 허둥지둥 가인데3)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넴겨 주소 한치 뒷산에 곤드레 딱지는4) 나지미5) 맛만 겉어도 병자년 흉년에도 봄 잘 살어가련만 아리아리랑 아리아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루 날 넴겨주소 1) 보나물(褓-) : 보자기를 가지고 나물을 하러 가는 데서 생긴 말. 2) 분견치 : 분간치. 3) 가인데 : 가는데의 사투리. 4) 곤드레 딱지 : 둘 다 풀의 이름. 5) 나지미 : 임의 일본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