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민영홍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민영홍 |
지역개관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는 옛날부터 이곳에는 매화꽃이 떨어지는 자리가 있다고 전해져 내려오나 지관이 아직도 그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하며 이 때문에 이 마을은 매월(梅月)리라고 불린다. 매월리는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의 하나인 광안 마을은 넓을 광(廣)자에 바위 안(岸)자를 쓰며 넓은 바우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구수는 100여 호 되며 대부분의 가구가 논농사를 짓고 있으나 오이나 콩, 고추 등을 재배하는 비닐 하우스가 주 수입원이 되고 있다. 마을 옆으로 중앙선이 지나며 마을 어귀에 매곡역이 있다. 교통편은 주로 상행, 하행 각 3번씩 있는 철도에 의존하며 버스는 면소재지에서 학생들을 통학시키는 통학 버스뿐이다. 경주 이씨에서 분파했다는 원주 이씨가 대성이며 특별한 민속놀이나 동제는 남아 있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4월 1일에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민영홍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노래를 시작하기 전에 “회를 다아야지!”라고 소리친다. 첫머리에 “왕산박 고시래!” 등의 세 번에 걸친 받는 소리도 노래가 아닌 외침이다. 마을 뒤에 있는 산과 봉우리의 이름을 들어 고시래를 외치는 것은 다른 마을의 달구소리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
가사 | 에야 어리 달고
왕박산 고시래 에야 어리 달고 갈미봉 고시래 에야 어리 달고 건지산1) 고시래 에야 아리 달고 에야 하리 달고 여보소 하구두나2) 동간님네3) 에야 하리 달고 이내나 한 마디 들어를 보소 에야 하리 달고 시격내격에4) 다툼을 말고 에야 하리 달고 배를 맞추고 등을 맞춰 에야 하리 달고 남보기 좋게나 놀아를 봅시다 에야 하리 달고 산천지 후천지는5) 에야 하리 달고 억만 세계에 무궁이로다 에야 하리 달고 선지야 조종은 곤륜산이요6) 에야 하리 달고 수지나 조종은 황하수로다 에야 하리 달고 곤륜산 난맥에7) 딱 떨어져서 에야 하리 달고 대한민국이 생겼으니 에야 하리 달고 백두산은 주산8) 되고 에야 하리 달고 한라산은도 안산이로다9) 에야 하리 달고 두만강은 청룡되고 에야 하리 달고 압록강은도 백호로구나 에야 하리 달고 팔도강산 좋은 명기10) 에야 하리 달고 헤 광중에11) 다 모였으니 에야 하리 달고 천하대지가 예 아닌가 에야 하리 달고 에 산소터 잡을 적에 에야 하리 달고 팔도 풍수가 다 모여 들어서 에야 하리 달고 팔도강산을 변답허여12) 에야 하리 달고 이 산 늑맥13) 밟아보니 에야 하리 달고 천하에는 제일이요 에야 하리 달고 일광지기가 여기로다 에야 하리 달고 사시하관에 오십 발복14) 에야 하리 달고 저청룡을15) 볼작시면 에야 하리 달고 자손들 만석할 자리요 에야 하리 달고 어하백홀16) 볼작시면 에야 하리 달고 외손도 번성할 자리로구나 에야 하리 달고 앞에 솟은 노적봉은 에야 하리 달고 거부나 장자가 날 자리며 에야 하리 달고 뒤에 솟은 문필봉은 에야 하리 달고 문장재사가 날 자리로다 에야 하리 달고 일선봉에 비치었으니 에야 하리 달고 군수 도지사 날 자리로다 에야 하리 달고 투구봉에 비치었으니 에야 하리 달고 대대장군이 날자리로구나 에야 하리 달고 여보시오 군방님네17) 에야 하리 달고 한노래 가주구 이 해를 보낼까 에야 하리 달고 다른 노래루 돌려를 봅시다 에야 하리 달고 요번에는 숨쉬는 장단 에야 하리 달고 오홍 오호이 오호야 에헤야 오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여보시오 동간님네 이내나 말울두 들어보게 오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이 세상 하고도 나온 사람 뉘 덕으루다 생겨났나 오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하늘님에나 은덕으로 아버님전에 뼈를 빌고 오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어머님전엔 살을 빌고 칠성님전엔 명을 빌어 오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이내 일신이 탄생허니 한두 살에두 철을 몰라 오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부모님 은공을 갚을 손가 부모님 은공을 못다 갚아 오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오 호호 오호이 오호호야 에헤야 오 호 호호이 에헤허야 에헤야 여보시오 군방님네 새소리 나거들란 오 호 오호이 에헤허야 에헤야 횟대를 위루 올리구 씨암닭 걸음으루 나오세 오 호 오호이 에헤야 에헤야 우야 헤위 위야 헤위 위 위 1) 건지산 : 앞에 나오는 왕박산, 갈미봉과 함께 이 마을 부근의 지명. 대홍수에 떠내려 가느 것을 마고할미가 건녀 놓은 데서 건지산이라 부른다는 설이 있음. 2) 하구두나 : 하고도. 3) 동간님네 :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일컬음. 4) 시격내격 : 티격태격. 5) 선천지 후천지(先天地 後天地) : 선천세계와 후천세계. 6) 산지야~황하수로다 : 산지조종 곤륜산 수지조종 황하수(山之祖宗 崑崙山 水之祖宗 黃河水). 산의 으뜸은 곤륜산이고 물의 으뜸은 황하수. 7) 낙맥(落脈) : 큰 산맥에서 갈라져 나와 뻗은 산맥. 8) 주산(主山) : 풍수설에 도읍터, 집터, 묏자리 등의 운수기운이 매였다고 하는 산. 9) 안산(案山) : 집터나 묏자리의 맞은 편에 있는 산. 10) 명기(明氣) : 맑고 경치가 아름다운 산천의 기운. 11) 광중(壙中) : 무덤의 구덩이 속. 12) 변답 : 편답(遍踏). 널리 돌아다님. 13) 늑맥 : 낙맥. 큰 산맥에서 갈라져 나와 뻗은 산맥. 14) 사시 하관에 오시 발복 : 사시(巳時)에 하관(下官)을 한 뒤 오시(午時)에 발복(發福)할 정도로 명당자리라는 뜻. 15) 저청룡 : 좌청룡. 16) 어하백홀 : 우백호를. 17) 군방님 : 함께 일하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