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단허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의 논매는소리-단허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탁준용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탁준용 |
지역개관 |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의 옛지명은 흔바우 나루다. 동네 어귀에 큰 바위가 있었는데 윤참판이라는 사람이 그 바위를 가져가 지금은 논 가운데 흔적만 남아 있다. 또한 남한강 줄기가 지나는 이 마을에는 큰 나루가 있어 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물에서 생계를 이어 나갔다. 배가 없어진 지는 10년밖에 안 되었다. 현재 가구수는 40여 호 되는데 마을 사람 대부분이 논농사를 짓고 있으며 밭작물로는 땅콩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고추와 과수를 재배하는 집도 몇 있다. 몇 년 사이 길도 포장되고 버스도 하루에 6번씩 다녀 교통은 그리 불편하지 않다. 87년에 거줄다리기로 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는데 그 때 참가한 사람들은 사망하거나 자녀들을 따라 타지에 나가 거의 사라졌다. 거줄다리기 때 고사를 지내던 참샘물이라는 좋은 우물이 있었는데 장마로 메워져 폐쇄된 지 3년 쯤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8일에 경기도 여주시(여주군) 점동면 흔암리에서 채집한 단허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탁준용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경기 동부지역은 공통적으로 메나리조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아마도 강원도 지역의 주민이 경기도로 이주한 결과로 보인다. 이 노래 역시 메나리조로 짜여진 노래이다. 받는 소리는 일정하나 메기는 소리는 변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가사 |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 여보시오 농부님네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 오늘날도 김매기 하세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 먼데 사람이 듣기나 좋게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곁에 계신 이 보기두 좋게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싼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농자는 천하지대본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헤헤 하여를 보세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여봅소서 농부님네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작년 같은 험한 시절에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대풍을 얻어 이끌었건만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올과 같은 가뭄시절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일심 노력 하여봅시다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국태민안 시화연풍1)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연년이 돌아들고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이씨한양 등극후에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헤 삼각산이 기봉하고2)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왕심산은 청룡되고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헤 동구재만리재 백호로다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에 동적강에 천금마여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헤 한강은 조수 돼야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이 봉학이 생겼구나 오하 얼싸 단허리야 에 학을 눌어 대궐 짓고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봉학이 넌짓 생겼구나(소음)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대궐 앞에 육조라다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육조에 이경무날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각도각읍 마련헐 제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여주같은 대무관이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대민레 대민레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경기는 경승이요 오하 얼싸 단허리야 삽십칠관을 마련헐제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여주 같은 대무관이 오하 얼싸 단허리야 대민레 대민레 오하 얼싸 단허리야 이네 동네나 대동네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여보시오 동무님네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심두 들고 목두 마르니 오하 얼싸 단허리야 헤 잠깐 쉬어서 놀아보세 1) 국태민안 시화연풍(國泰民安 時和年豊)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시절이 고르고 해마다 풍년임. 2) 기봉(起峯) : 잇단 산줄기 가운데 가장 높은 봉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