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의 고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탁준용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탁준용 |
지역개관 |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의 옛지명은 흔바우 나루다. 동네 어귀에 큰 바위가 있었는데 윤참판이라는 사람이 그 바위를 가져가 지금은 논 가운데 흔적만 남아 있다. 또한 남한강 줄기가 지나는 이 마을에는 큰 나루가 있어 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물에서 생계를 이어 나갔다. 배가 없어진 지는 10년밖에 안 되었다. 현재 가구수는 40여 호 되는데 마을 사람 대부분이 논농사를 짓고 있으며 밭작물로는 땅콩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고추와 과수를 재배하는 집도 몇 있다. 몇 년 사이 길도 포장되고 버스도 하루에 6번씩 다녀 교통은 그리 불편하지 않다. 87년에 거줄다리기로 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는데 그 때 참가한 사람들은 사망하거나 자녀들을 따라 타지에 나가 거의 사라졌다. 거줄다리기 때 고사를 지내던 참샘물이라는 좋은 우물이 있었는데 장마로 메워져 폐쇄된 지 3년 쯤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8일에 경기도 여주시(여주군) 점동면 흔암리에서 채집한 고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탁준용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아랫말 웃말의 각 두레패는 거줄다리기가 시작되기 며칠 전부터 각각 용을 만드는데 서로다 만들 때까지 보여 주어서는 안된다. 행사는 고사와 줄다리기로 이틀에 걸쳐 하게 되는데 첫날에는 아랫 웃말 사람들이 모두 모여 서낭과 우물에 고사를 지낸다. 두 번째 날에는 흔바우 나루 회나무 아래에 가서 두 패로 나뉘어 거줄다리기를 한다. 이 때 암룡이 이겨야 그 해에 풍년이 든다고 한다. 따라서 아랫 웃말 유지들이 모여 회의를 거쳐서 암, 수를 결정하게 된다. 줄다리기가 끝나면 강에 용을 띄우는데 이를 액맥이라고 한다. 강에다 용과 함께 모든 액을 띄워 보내고 나서는 강고사를 마지막으로 모든 행사가 끝난다. 풍물로는 북, 징, 꽹과리, 장고를 치고 쇄납도 분다. 이 일대에서는 흔암리가 가장 성해 근동의 굴암이나 연곡, 강천, 적금 등에서 모두 구경을 왔다 일제시대 때 없어졌다가 1984년 경에 다시 부활되었으나 인원이 축소되고 노인들이 돌아가셔서 지금은 없어졌다. 이 고사소리에선 북은 정용태 씨, 징은 박상옥 씨, 꽹과리는 탁준용 씨, 장고는 김은배 씨, 쇄납은 이상준 씨가 맡았다. |
가사 | 눌르세 눌르세 서낭님을 눌르세
눌르세 눌르세 용왕님을 눌르세 뚫려라 뚫려라 샘구녕만 뚤려라 눌르세 눌르세 사해용왕 눌르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