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여주군 강천면 적금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신현각, 유근무, 유원식, 이상봉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신현각, 유근무, 유원식, 이상봉 |
지역개관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적금리는 영동고속도로변 마을로 원주까지 30분 걸린다. 조선시대에는 강원도에 속한 마을이었다 한다. 사금 채취를 많이 하던 마을이라 적금(積金)이라고 썼는데 지금은 적금(赤金)이라고 쓴다. 가구수는 50여 호 되며 논농사를 위주로 하고 있으나 고추나 땅콩 농사도 성하다. 김해 김씨가 대성인데 지금은 타지로 많이 나갔다. 시내 버스는 없으나 여주에서 원주로 가는 완행 버스가 왕복 8번 있다. 서낭이 있었는데 15년 전쯤에 도둑을 맞았고 동구밖에 몇백 년 전부터 내려오는 장승이 있어 2년마다 새로 만들어 세우고 음력 정월 14일에 해마다 장승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9일에 경기도 여주시(여주군) 강천면 적금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신현각, 유근무, 유원식, 이상봉이 참여하였다. 모 심을 때나 밭 맬 때 주로 아리랑타령을 한다. 남녀의 애정을 소재로 한 소박한 사설이 재미있으며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로부터 억압받던 설움을 잘 표현한 사설도 돋보인다. 강원도 정선아리랑의 영향을 받은 노래로 보이며 3박자 계통의 장단으로 짜여져서 4박자 계통(4/?)의 노래와 다른 모습을 담고 있다. |
가사 | 심어주게 심어주게 심어를 주게
삼배출1) 짜리루다가 심어를 주게 에에 놀어라 놀어라 저야 젊어 놀지 늙구야 병드신다면 아니 못 노리오 지불명령에 강제 집행은 연년이 다달이 오건마는 한 번 가신 우리 님은 왜 아니 오나 아리랑타령을 다 마잤더니 돌아간 봄철이 돌어 왔네 정선읍내 물레 방아는 허풍선이 궁굴대는2) 물버쿰을3) 안구서 비빙빙 도는데 우리 집이 그 사람은 어데를 가구서 아니 돌어를 오나 비가 올라나 눈이 올라나 억수장마 칠라나 소산산 검정 구름이 막 모여드네 오늘 갈런지 내일 갈런지 상하망종인데4) 호박덤불 박덤불은 왜 요리 성해 가시던 님은다가 잊으셨는지 꿈에 헌번을 아니를 오네 아리랑타령을 다가 거기 누가 해는지 음성만 들어두 정들었네 무정한 세월아 오구 가지 말어 알뜰한 요내 청년이 늙어늙어 가네 만나보세 만나보세 만나를 보세 살구나무 구정저로5) 만나보세 무심한 기차는 날 실어다 놓고 환고향6) 시겨줄 줄을 왜 몰랐나 눈이 올래나 비가 올래나 억수 장마가 칠러나 만수산으로다가 검은에 구름이 막 모여드네 일락서산에 지는 해는다7) 지구 싶어 지나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야 가고 싶어 가리 놀다가 죽어두 원통하다는데 밤낮을 모르구 일만하네 시시각 사시덕에8) 놀기는 나가 여기 놀어두 맘 가고 발 가는데는 또 따로 있네 날 좀 보게 날 좀보게 나를 좀 보게 동지 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로구나 아리랑 고개는 무엇이나 고갠데 한번만 넘어를 가면은 다시 올 줄 몰라 나의나 고향은 강원도 불온면인데 임시 잠깐 몸 지체하기는 여주군 강천면 아우내 깔다리는다9) 바발발 뜨는데 정든 이는 나가두 날 안고 떠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야 아리라랑 고개루만 넘어를 가네 무정헌 세월아 오고 가지 말어 장안에 호걸이 늙어 늙어 가네 수천리 밖에다 전화 줄을 늘리고 유선에 임소식 자주자주 듣네 무심한 기차야 날 실어다 놓고 환고향 시겨줄 줄을 왜 몰르나 열래는 콩팥은다가 아니나 열고 아주까리 동박만10) 왜 요렇게 여나 저 근너 묵밭은 작년에도 묵더니 금년에두냐 날과 같이야 또 묵는구려 주야무야 다 모인 중에 맘가고 정가는 데는 또 따루 있네 무심한 자동차는 날 실어다 놓고 한구향 시겨줄 줄을 왜 몰렀나 명사십리나 해동화는 삼월이면 왜 피나 구사절이라 니가 잘났네 내가 잘났네 인물 도툼을11) 말고 두에 집이에12) 영감님덜이 모두 일삭이야13) 수수밭 갑돌이는14) 내가 물어 주께 구시월까징만 세워만 주소. 1) 삼배출 : 한 마지기의 땅에서 석삼의 곡식이 나는 소출. 2) 궁굴대 : 물레방아의 중심되는 나무. 3) 물버쿰 : 물거품의 방언. 4) 상하망종 : (뜻 모름) 언제 죽을 지 모른다는 뜻인 듯. 5) 구정저 : 정자인 듯. 6) 환고향(還故鄕) : 고향으로 돌아감. 7) 해는다 : 다는 뜻없이 들어간 말. 8) 시시각 사시덕 : 희희덕거리고 노는 모습. 9) 깔다리 : 개울가에 나는 긴 풀. 10) 동박 : 동백. 11) 도툼 : 다툼. 12) 두에 집 : 뒤집. 13) 일삭 : 일색(一色). 14) 갑도리 : 도지, 즉 소작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