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울어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벌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의 나무하는소리-울어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재순, 송영운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재순, 송영운 |
지역개관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는 미산에서 버드나무가 세 번째로 좋은 마을이라 하여 버들마을이라 불리었다. 70년도만 해도 버드나무가 많았는데 지금은 드문드문 있을 뿐이다. 가구수는 100여 호 되며 논농사와 밭농사 비율은 엇비슷하다. 땅콩과 참외를 많이 재배하며 고초도 또한 유명하다. 젖소도 10여 호 기른다. 여산 송씨가 대성으로 20여 호 정도 되며 평산 신씨와 능성 구씨도 각각 10여 호 된다. 전곡에서 유촌을 지나 백학으로 들어가는 버스가 하루에 7번 있어 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아미산 울어리로 유명한 마을인데 백석리와 공동으로 민속경연대회에 나가 79년부터 수상을 했다. 옛날엔 호미씨세도 있었는데 지금은 사라지고 12월에 동네사람들이 모여서 두부 넣은 연포국을 끓여 먹으면서 한바탕 노는 대동계가 매년 행해지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16일에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에서 채집한 울어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재순, 송영운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음력 7~8월에 땔나무용 풋나무를 많이 깎았는데 울어리소리는 이때 부르는 소리이다. 아미산이나 도리산으로 주로 많이 나무를 하러 다녔으므로 <남여행차>와 <둥게타령>을 합하여 아미산 울어리로 불린다. 원래 앞소리는 상, 중, 하계리로 나누어 번갈아 가면서 메기도 뒷소리는 모두 일시에 메기는데 여기서는 이재순씨와 송영운씨가 번갈아 가면서 앞소리를 메기고 나머지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았다. |
가사 | 올라가네
오오오 오오 오오오 거기서 올라가면 여기서도 올라만 가네 오오오 오오 오오오 상계리에서 올라가면 중계리에서도 올라가네1) 오오오 오오 오오오 좌우측 벼리가2) 쳐졌으니 처진 부리에서3) 치키구 치키어라 오오오 오오 오오오 이삼년 묵은 무자라기가4) 핑핑만 돌아가네5) 오오오 오오 오오오 산에가 도라질 캐니 이름이 좋아서 산삼이라 오오오 오오 오오오 상상봉 대마루루만 올라가네 오오오 오오 오오오 산에 올라 옥을 캐니 이름이 좋아서 산옥이라오 오오오 오오 오오오 서해 용왕은 고래타고 우리 좌상 남녀타6) 오오오 오오 오오오 산천 초목은 푸르러 가고 인간의 청춘은 늙어만 가네 오오오 오오 오오오 일락서산에 해떨어지고 월출동녘엔 달 솟아 오네 오오오 오오 오오오 이삼년 묵은 무자라기가 막 돌아만 가네 오오오 오오 오오오 아이구 목말르다 오오오 오오 오오오 막걸리 한 잔 먹고 합시다 오오오 오오 오오오 1) 상계리~올라가네 : 나무를 하러 갈 때는 20~30명을 세 조로 나누는데 상계리는 맨 오른쪽, 중계리는 가운데, 하계리는 왼쪽 조를 말함. 메기는 소리는 조별로 차례로 부름. 2) 벼리 : 일하는 대형의 맨 가장자리를 말함. 3) 부리 : 벼리와 같은 말. 4) 무자라기 : 이 삼년 묵은 나무나 햇나무를 일컫는 말이라고 함. 5) 핑핑만 돌아가네 : 나무가 낫에 베어져 징그르르 돌아가는 데서 나온 사설. 6) 남녀(藍輿) : 뚜껑이 없는 의자 비슷한 작은 가마. 앞뒤로 두 사람씩이 어깨에 메게 되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