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남여행차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의 남여행차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31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기도 > 연천군 |
생산지역 상세 | 미산면 유촌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3 , 남여행차 , 민요 , 유희요 , 경기도 , 연천군 , 1993 , 1996 , 남여행차 , 이재순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이재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재순 |
지역개관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는 미산에서 버드나무가 세 번째로 좋은 마을이라 하여 버들마을이라 불리었다. 70년도만 해도 버드나무가 많았는데 지금은 드문드문 있을 뿐이다. 가구수는 100여 호 되며 논농사와 밭농사 비율은 엇비슷하다. 땅콩과 참외를 많이 재배하며 고초도 또한 유명하다. 젖소도 10여 호 기른다. 여산 송씨가 대성으로 20여 호 정도 되며 평산 신씨와 능성 구씨도 각각 10여 호 된다. 전곡에서 유촌을 지나 백학으로 들어가는 버스가 하루에 7번 있어 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아미산 울어리로 유명한 마을인데 백석리와 공동으로 민속경연대회에 나가 79년부터 수상을 했다. 옛날엔 호미씨세도 있었는데 지금은 사라지고 12월에 동네사람들이 모여서 두부 넣은 연포국을 끓여 먹으면서 한바탕 노는 대동계가 매년 행해지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16일에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에서 채집한 남여행차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재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꽹과리, 장고, 북 등을 치고 쇄납을 부는데 산에 나무 깎으러 올라갈 때 미리 준비해 가지고 간다. 산에서 점심 먹고 나서 한바탕 치기도 하는데 이 때는 소리가 없다. 나무를 다 깎고나면 향나무를 베어서 어슷한 가위표로 엇갈리게 하고 칡을 엮어 남녀를 만들고 제일 연장자(좌상)를 남녀에 태운다. 좌상은 양반행세를 하면서 산을 내려 오는데 뒤에서 풍물이 따라오며 흥을 돋운다. 이렇게 나무 깎은 주인집 앞에 당도하면 주인집에서는 부사또가 오셨다며 술과 만두 등을 내오고 한바탕 놀이판이 벌어진다. 한 달 정도 집집마다 아가면서 계속 나무를 깎는데 부잣집은 남녀행차를 성대히 하고 한바탕 놀이판이 벌어지지지만 빈한한 집은 남녀행차를 안 하는 수도 있다. 남녀행차 모습은 맨 앞에 울어리 기(旗)가 서고, 그 바로 뒤에 길라잡이가 서서 선소리를 메기고 그 뒤에 좌상을 태운 남녀가 두 줄로 늘어서서 뒤따르는데 이것이 기러기 형상과 같다고 한다. 이 때문에 끼루끼루라는 뒷소리가 붙게 되었다고 한다. 송악산, 선죽교 등이 등장하는 것은 남녀행차가 옛날 송악산에서부터 시작된 때문이라고 한다. |
가사 | 에헤루 끼루끼루 고이 모셔라
에 끼루끼루 에라 이놈 물렀거라 칠렀거라1) 에 끼루끼루 에 송악산 꼭대기 단풍이 누렇게 들었구나 에 끼루끼루 에 선죽교를 건너니 마음이 후련하구나 에 끼루끼루 에 오곡백화가 다 풍년이로구나 에 끼루끼루 에 먼산에 해가 뚝 떨어지는구나 에 끼루끼루 에 이놈 물렀거라 칠렀거라 에 끼루끼루 에 저 동넬 가보면 마음이 후련하겠구나2) 에 끼루끼루 에 그 들에 곡석이 누렇게 익었구나 에 끼루끼루 에 이 사람들아 걸음을 멈추어라. 에 끼루끼루 1) 칠렀거라 : 비켜라, 치워라. 2) 저 동넬~후련하겠구나 : 동네에 내려가서 잔치할 생각을 하니 즐겁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