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게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의 둥게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31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기도 > 연천군 |
생산지역 상세 | 미산면 유촌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둥게타령 , 민요 , 유희요 , 경기도 , 연천군 , 1993 , 1996 , 둥게타령 , 이재순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이재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재순 |
지역개관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는 미산에서 버드나무가 세 번째로 좋은 마을이라 하여 버들마을이라 불리었다. 70년도만 해도 버드나무가 많았는데 지금은 드문드문 있을 뿐이다. 가구수는 100여 호 되며 논농사와 밭농사 비율은 엇비슷하다. 땅콩과 참외를 많이 재배하며 고초도 또한 유명하다. 젖소도 10여 호 기른다. 여산 송씨가 대성으로 20여 호 정도 되며 평산 신씨와 능성 구씨도 각각 10여 호 된다. 전곡에서 유촌을 지나 백학으로 들어가는 버스가 하루에 7번 있어 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아미산 울어리로 유명한 마을인데 백석리와 공동으로 민속경연대회에 나가 79년부터 수상을 했다. 옛날엔 호미씨세도 있었는데 지금은 사라지고 12월에 동네사람들이 모여서 두부 넣은 연포국을 끓여 먹으면서 한바탕 노는 대동계가 매년 행해지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16일에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유촌리에서 채집한 둥게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재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나무꾼들이 남녀행차를 주인집 마당에 당도하여 큰 산닭 두 마리를 양 손에 쥐고 흔들며 춤으 추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이재순 씨는 둥게가 아니라 둥계(鷄)라고 하면서 둥어리 같은 큰 닭이라고 설명한다. |
가사 |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정월이라 대보름 월출동녘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이월이라 한식날 북망삼천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삼월이라 삼질날 제비 쌍쌍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사월이라 초파일 석가무니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오월이라 단오절 추천당에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유월이라 유두날 정자각에 둥게야1)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칠월이라 칠석날 칠석 마중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팔월이라 한가위 송편 빚어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구월이라 구일날 풍년정에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시월이라 무오일 무시루떡에 둥게야2)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동짓달 동지날 동지 팥죽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섣달이라 그믐날 흰떡 빚어 둥게야 둥게야 둥게야 울어리 소리에 둥게야 1) 유두날은 정자나무 밑에서 논다. 2) 시월에 무오일이 든 날은 무시루떡을 먹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