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물푸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의 물푸는소리(용두레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오상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오상원 |
지역개관 |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는 옛날에 골미마을이라고 불렸는데 왜 그렇게 불렸는지는 모른다. 가구수는 90세대 가량 되며 논농사를 짓는 가구가 대부분인데 근처에 백학 저수지가 있어 가뭄에도 물걱정이 없다. 밭농사로는 45가구 가량이 땅콩을 재배하고 인삼을 재배하는 집도 대여섯 집 된다. 연천 일대는 고추가 잘 되는 토양이라 고추는 거의 모든 집이 재배하고 있다.의정부로 나가는 버스가 한 시간에 한 때씩 있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각성바지인데 노래 잘하는 사람이 별로 없으며 민속놀이도 하지 않는 편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17일에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에서 채집한 물푸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오상원이 참여하였다. 가창자는 처가인 김포에서 이 노래를 듣고 배웠다. 용두레질은 모내고 나서 가물 때 많이 한다. 용두레 하나에 두 명씩 붙어서 밤이나 낮이나 용두레질을 하면서 소리를 한다. 밤낮으로 일을 하니 잠도 쫓을 겸해서 소리를 하는데 한 사람이 500두레를 푸면 다른 사람이 받아서 500두레를 푸는데 이 때 소리는 수를 세는 데도 유용하다. 가창자는 연천에서는 용두레질을 안 해봤다고 한다. 실제로 연천에서는 용두레질 소리를 한 곡도 녹음하지 못했다. 음역이 넓고 도약진행이 많아서 신나고 씩씩한 정서가 잘 표현되어 있다. |
가사 | 하나 둘이다 허이
둘은 서이 둘은 너이 너이 다섯 다섯 여섯 여섯 일곱 일구 여덜 여덜 아홉 아홉 열인데 여라믄 시절에 부모님 앞에서 놀구 먹었네 열 칠팔세가 되구 보니 물을 푸눈다 열 다섯은 삼오 십오요 열다섯에 시집을 갔드니 이구 십팔 예 여덜 살에 남편 조차 이별했구나 사오 이십에 스무 살에 시집을 갔드니 남편조차 이별허구 스물 하나 스물 둘인데 스물 서이 스물 너이 스물 다섯 다섯 여섯은 불혹이요 일구 여덟은 조금인데 여덟 아홉은 사리로다 하나 둘은 넘어 가는데 울 너머냐 논배미루다 물 넘어 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