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노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의 노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배인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배인원 |
지역개관 | 자월도는 돌과 바위가 많은 섬으로서 물길이 좋지 않아 배가 자주 끊기는 섬이다. 자월(紫月)이란 붉은 달이라는 뜻으로서 세금을 받으러 왔던 관리들이 배가 뜨지 않자 지금은 없어진 삿갓바위 근처에서 육지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하늘에는 붉은 달만 걸려있더라는 데서 유래했다 한다. 자월도에는 자월 1, 2, 3리가 있는데 자월 1리는 80여 가구이며 인구는 200여 명 된다. 어업을 전업으로 하는 가구는 2가구밖에 되지 않고 대부분 반농반어이다. 게나 가자미를 잡는 작은 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현지에서는 자망배라 한다. 진주 강씨 집성촌으로서 1리에만 16세대가 살고 있다. 농사로는 논농사와 밭농사를 겸하며 밭에는 주로 콩, 보리, 감자, 메밀 등을 재배한다. 예전엔 감자가 좋고 메밀도 강원도보다 좋다고 하는데 지금은 많이 재배하지 않는다. 연안부두에서 운행하는 배가 하루에 한 번 있는데 유원지가 있어 여름에는 하루에 2번씩 운행한다. 전교생이 9명인 자월 초등학교가 있다. 50년 전까지는 당산집이 있었으며 2~30년 전까지만 해도 정초에 풍물을 쳤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논매는 소리는 원래 없었다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24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에서 채집한 노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배인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메기는 소리는 불규칙하나 받는 소리는 2박자로 일정하게 받는다. |
가사 | (자 대반찬 가지구 완. 마누라 들어라 우리 떠날 텨. 이물사공)
(예) (고물사공) (예) (노 챙기구) (예) (고리 챙겨) (예) (바람없어, 노 젓 가야겄어) (예, 알았어요) 어야디여차 어어아 에에 순풍에 돛 달아라 아아 아아아 어야디야 어기여차 어어 어어아 어야디여차 빨리 저어가면 어어어 어야디여차 앞산은 가까지고 어야디야 뒷산은 멀어진다 어기여차 에 어어 어어어 어야디야 돈 벌어서 뭘 할 건가 에애디야 늙은 부모 봉양하고 어기여차 자식새끼 살펴보자 에야디야 어 어어 어어어 어야디여차 어야디여차 잘두 간다 어야디야 공들이니 백발이구1) 어기여차 면치 못 할 죽음일러라 어이기여 일락서산 해떨어지네 어어 어어아 어야디여차 월출동녘 달 돋는구나 어야디여 내일 아침 또 돋건만 어기여차 노부모님 언제 젊어 어어 어어어 어이기야 돈벌이해서 봉양하나 어기여차 잉어어 어어 어어어 어야디야 곡식 싣고 어이디야 돈벌어 노면 어기여차 밭에다가 곡식 심고 어어 어어어어어 어어디여 가을되면 추수허여 어기여차 어머님 아버님 봉양허구 어기여차 자식새끼 살려보자 어야디야 어거디여차 어어 어어어 어허야 에야디야 무섭지 않고 겁나지 않다 어이디야 네 아무리 바람이 시게 불어도 어이야아 무섭지 않구 겁나지 않다 어러이여차 어어어 어어 어어어 어야 디여차 불효자식 어기여차 따루 없다 어어 어어어 에야디야 돛 달아라 뱃머리 돌려 어이자자 물길루만 저어갈 제 어야디야 어거 어어 어어어어어 어이야자 우리 배가 종착역에 어이디여차 다 들어왔구나 어이허자 화장이야 닻 주어라2) 헤야자자 밀물 썰물 가려 가자 어야디야 어여 어어 어어어어어 어이여자 봄이면 꽃이 피구 어이자자 여름에는 무성한 풀이 어야디여차 가을에는 한국 단풍 어야디야 우리나라 좋은 시절 어야디야 젊은 몸이 허송할소냐 어야디야 평생에 맺힌 원한이 어어 어어어 어이여자 불효부모 사위일세 어이여자 생전부모 생각해라 어이디여 돈 많이 벌어 부모봉양 자식들에게 보양할세 어기야차 어어 어어 어어어 어이야자 슬프구나 어느덧이 백발되니 어어 어어어 어어 어이여자 어느 해가 부모에게 봉양할 길 다 버렸네 어이디야 북망산천이 왜 생겼나 어야여차 어어 어어 어어어어어 어이야자 부모님이 북망가니 어기여차 천애고아 외롭구나 어기여차 하늘나라 가신 부모 어기여자 이거디여차 어 어어 어어어 어기여자 어느 때나 다시 보리 어기여차 어어 어어 어어어 어야디야 여보게 사공들 어야디여차 조금 쉬었다 젓세 그래 봅시다 조금 쉬었다 저어 한잔 마시고 저어가세 에야디야 어여디여차 어어 어어어 에이헤자 1) 공들이니 백발 : 공도(公道)라니 백발(白髮). 공도백발은 어느 누구에게다 다 같이 돌아오는 백발. 공도는 공평하고 올바른 도리. 2) 화장 : 배에서 불 때는 일을 맡아보는 사람. 배의 심부름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