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물당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의 그물당기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배인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배인원 |
지역개관 | 자월도는 돌과 바위가 많은 섬으로서 물길이 좋지 않아 배가 자주 끊기는 섬이다. 자월(紫月)이란 붉은 달이라는 뜻으로서 세금을 받으러 왔던 관리들이 배가 뜨지 않자 지금은 없어진 삿갓바위 근처에서 육지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하늘에는 붉은 달만 걸려있더라는 데서 유래했다 한다. 자월도에는 자월 1, 2, 3리가 있는데 자월 1리는 80여 가구이며 인구는 200여 명 된다. 어업을 전업으로 하는 가구는 2가구밖에 되지 않고 대부분 반농반어이다. 게나 가자미를 잡는 작은 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현지에서는 자망배라 한다. 진주 강씨 집성촌으로서 1리에만 16세대가 살고 있다. 농사로는 논농사와 밭농사를 겸하며 밭에는 주로 콩, 보리, 감자, 메밀 등을 재배한다. 예전엔 감자가 좋고 메밀도 강원도보다 좋다고 하는데 지금은 많이 재배하지 않는다. 연안부두에서 운행하는 배가 하루에 한 번 있는데 유원지가 있어 여름에는 하루에 2번씩 운행한다. 전교생이 9명인 자월 초등학교가 있다. 50년 전까지는 당산집이 있었으며 2~30년 전까지만 해도 정초에 풍물을 쳤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논매는 소리는 원래 없었다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24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에서 채집한 그물당기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배인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쟁기내는 소리라고도 하고, 그믈걷는 소리라고도 한다. 대화를 많이 하며 실제로 그물을 걷어 올려 고기를 쏟아내는 과정을 실감나게 재연했다. 받는 소리를 부른 두 사람의 사설이 서로 달라 그 중 한 사람의 사설만 기록했다. 받는 소리가 원래 일정치 않고 받는 소리가 시작되는 곳 역시 일정치 않다. 노젓는 소리와 달리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가 일정하게 짜여져 있어서 일의 동작과 노래가 물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노젓는 소리는 여유가 있으나 그물당기는 소리는 긴박감이 감돈다. |
가사 | 어야디여차
에이여러 어이예에 에야디여 팔뚝에다 에이야차 힘을 주구 어야디야 배에서 에이여차 우러나오는 에야디여 그물소리 에이여차 에이거어 에이여어 어서 땡기자 에기여차 빨리빨리 아이디여 땡겨보자 헤이야자 밀물 들면 에이여에 썰물루 가고 어야디야 썰물 들면 헤이예에 밀물루 가네 헤이예레 어이자아 아이예레 (야 많이 걸렸구나. 그물이 노랗다.1)옆구리에다 차라, 옆구리에다 차) (고만하고 여보게들 어, 저저, 대꼬작2) 저, 용두3) 내려) (예) (올려 올려 올려) 올려 헤이예에 어이야아 헤에에라 어이야아 어야디야 어이야아 어여디어차 (다 올라갔어) (어) (쏟아봐 쏟아봐) (아, 산데미 같구나, 산데미 같어) 1) 그물이 노랗다 : 그물에 고기가 많이 걸렸다는 말. 2) 대꼬작 : 돛대. 3) 용두 : 돛대의 맨 꼭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