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의 무덤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배인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배인원 |
지역개관 | 자월도는 돌과 바위가 많은 섬으로서 물길이 좋지 않아 배가 자주 끊기는 섬이다. 자월(紫月)이란 붉은 달이라는 뜻으로서 세금을 받으러 왔던 관리들이 배가 뜨지 않자 지금은 없어진 삿갓바위 근처에서 육지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하늘에는 붉은 달만 걸려있더라는 데서 유래했다 한다. 자월도에는 자월 1, 2, 3리가 있는데 자월 1리는 80여 가구이며 인구는 200여 명 된다. 어업을 전업으로 하는 가구는 2가구밖에 되지 않고 대부분 반농반어이다. 게나 가자미를 잡는 작은 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현지에서는 자망배라 한다. 진주 강씨 집성촌으로서 1리에만 16세대가 살고 있다. 농사로는 논농사와 밭농사를 겸하며 밭에는 주로 콩, 보리, 감자, 메밀 등을 재배한다. 예전엔 감자가 좋고 메밀도 강원도보다 좋다고 하는데 지금은 많이 재배하지 않는다. 연안부두에서 운행하는 배가 하루에 한 번 있는데 유원지가 있어 여름에는 하루에 2번씩 운행한다. 전교생이 9명인 자월 초등학교가 있다. 50년 전까지는 당산집이 있었으며 2~30년 전까지만 해도 정초에 풍물을 쳤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논매는 소리는 원래 없었다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24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에서 채집한 무덤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배인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현지에서는 무덤이 될 구덩이를 파는 소리라는 뜻으로 굿 파는 소리라고 한다. 가락이 매우 느린 것이 특징이다. 가래질은 20~30명이 하는데 많을 때는 40~50명이 모여서 하기도 한다. |
가사 | (자, 상부꾼님들.1)광중엔2) 팝시다)
에 어루 가래 에에 손 가래요 이 가래가 뉘 가래냐 에에 손 가래요 모씨 망인이3) 만년유택 가래 에에 손 가래요 이제 산천을 돌려다 보니 에에 손 가래요 우리나라 명당이 여기 에에 손 가래요 1) 상부꾼 : 상두꾼. 상여 일을 하는 사람. 2) 광중(壙中) : 묘지의 구덩이 속. 3) 모씨 망인(某氏 亡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