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나니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옹진군 송림면 연평리의 나나니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길자, 조희춘, 박봉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길자, 조희춘, 박봉렬 |
지역개관 | 옹진군 송림면 연평리는 본래 황해도 해주군에 속해 있었으나 휴전선이 생기면서 옹진군으로 바뀌었다. 인천과의 거리는 104.5㎞인데 반해 휴전선과의 거리는 불과 10㎞밖에 되지 않는다. 1.4 후퇴 이후에 3만명의 피난민이 정착했으며 현재는 소연평까지 포함하여 495가구에 1440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중 농가가 80여 가구, 어가가 290여 가구, 벼농가가 120여 가구 정도 된다. 봄 가을로는 꽃게가 많이 잡히며 평소에는 농어, 우럭, 준치 등이 많이 잡힌다. 예전에는 조기철인 4~6월에는 연평 파시(波市)가 유명해서 항내가 각도에서 모인 풍선들로 꽉 찼었다고 한다. 해방 후에도 10년간 성했으나 이제는 조기조차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임경업 장군을 모신 사당인 충민사(忠愍祠)가 있어 배 출어하기 전인 양력 2월경에는 만선을 기원하면서 해마다 풍어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26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송림면) 연평리에서 채집한 나나니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길자, 조희춘, 박봉렬이 참여하였다. 연평도, 소연평도 아낙네들이 굴을 캐러 가거나 나무를 할 때, 또는 심심할 때 흥얼거리는 노래이다. 여럿이 모여 놀 때도 물박장단을 치면서 부른다. |
가사 |
소연평 꼭대기 실안개 돌고 우리나 문턱에 정든 님만 돈다 나나나나 이나나나 아니나 놀고 뭘 할소냐 우리가 살았걸래 형님동생 하지 우리가 죽으면 다 소용없다네 나나나나 이나나나 아니나 놀고 뭘 할소냐 우리가 살면은 멫오백년 사나 한 오백 년 사는 걸 칠팔 세만 산다네 나나나나 이나나나 아니나 놀고 뭘 할소냐 서산에 지는 해는 지구 싶어 지나요 날버리고 가신 님 가고 싶어 갔나 나나나나 이나나나 아니나 놀고 뭘 할소냐 강남갔던 제비는 다시 돌아 오련만 황천 가신 님은 다시 한 번 못오네 나나나나 이나나나 아니나 놀고 뭘 할소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