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옹진군 송림면 연평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희춘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희춘 |
지역개관 | 옹진군 송림면 연평리는 본래 황해도 해주군에 속해 있었으나 휴전선이 생기면서 옹진군으로 바뀌었다. 인천과의 거리는 104.5㎞인데 반해 휴전선과의 거리는 불과 10㎞밖에 되지 않는다. 1.4 후퇴 이후에 3만명의 피난민이 정착했으며 현재는 소연평까지 포함하여 495가구에 1440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중 농가가 80여 가구, 어가가 290여 가구, 벼농가가 120여 가구 정도 된다. 봄 가을로는 꽃게가 많이 잡히며 평소에는 농어, 우럭, 준치 등이 많이 잡힌다. 예전에는 조기철인 4~6월에는 연평 파시(波市)가 유명해서 항내가 각도에서 모인 풍선들로 꽉 찼었다고 한다. 해방 후에도 10년간 성했으나 이제는 조기조차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임경업 장군을 모신 사당인 충민사(忠愍祠)가 있어 배 출어하기 전인 양력 2월경에는 만선을 기원하면서 해마다 풍어제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26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송림면) 연평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희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무덤이나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
가사 | 어히에헤 달구요
에헤헤헤 달구요 어이어 달구로다 에헤헤헤 달구요 이 달구 디딘 후에 에헤헤헤 달구요 아들을 나면 효자 낳고 에헤헤헤 달구요 딸을 나면 열녀로다 에헤헤헤 달구요1 닭을 길르면 봉이 되고 에헤헤헤 달구요 야호 야호 야호 달구 에헤헤헤 달구요 말을 기르면 용마되고 에헤헤헤 달구요 어이허어 달구로다 에헤헤헤 달구요 동네 청년들 힘을 빌어 에헤헤헤 달구요 안판 네 귀를 굴러 주소 에헤헤헤 달구요 어어리 달구로다 에헤헤헤 달구요 어으어어 달구로다 에헤헤헤 달구요 사롱1) 아래 삶은 닭이2) 에헤헤헤 달구요 싹이 나면 오시려나 에헤헤헤 달구요 병풍 안에 그린 수탁 에헤헤헤 달구요 꼬끼오 하면 오시려나 에헤헤헤 달구요 에어리 달구로다 에헤헤헤 달구요 에허리 달구로다 에헤헤헤 달구요 1) 사롱 : 살강의 경기도, 황해도 지역의 방언. 살강은 부엌의 벽 중턱에 드린 선반을 말함. 2) 닭이 : 팥이를 잘못 부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