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잠잘 꼼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갖고놀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의 잠잘 꼼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명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명규 |
지역개관 |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는 원래 강화도에 속했으나 20년 전 옹진군으로 바뀌었다. 270여 가구에 인구가 1000여 명 되는 이 섬은 4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는데 2리는 양쪽 산이 게발처럼 생겨 있어 게등이라고도 불린다. 여기는 게혈이라서 잔등을 눌러 놔야 부자가 된다 하여 원래 산밑 둔지에는 들이 있어야 하는데 마을이 구성되어 있다. 80여 가구가 농업을 하고 30여 가구가 어업을 하고 있는데 영종도 공항 때문에 작년부터 배가 계속 줄고 있는 추세이다. 일제시대부터 새우가 많이 잡혔으며 14년 점부터는 김양식을 많이 하고 있다. 유원지가 있어 연안부두에서는 하루에 한 번, 월미도와 연결되는 영종도에서는 하루에 4번씩 배가 다닌다. 교회가 1943년에 생겨 지금은 90여 호 정도가 교회에 다닌다. 해방직후까지 띄뱃놀이라는 풍어놀이가 있었으며 최근에 이를 재현하여 민속경연대회에 출전하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4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에서 채집한 잠잘 꼼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명규가 참여하였다. 작은 소리로 노래를 부르면서 다가가 잠자리 눈앞에서 집게 손가락을 둥글게 돌려 잠자리가 정신이 없어졌을 때 한 손으로 꼬리를 잡는다고 한다. |
가사 | 잠잘꼼잘 멀리 가믄 죽구 얕이 오먼 산다
잠잘꼼잘 멀리 가믄 죽구 얕이 오먼 산다 잠잘꼼잘 멀리 가믄 죽구 얕이 오먼 산다 (잡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