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기푸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고기푸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503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인천광역시 |
생산지역 상세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조기잡이]고기푸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인천광역시 , 인천 , 1995 , 1996 , 고기푸는소리 , 차정재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차정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차정재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고기푸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차정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테질소리라고도 한다. 선소리 메기는 사람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받는 사람 중에서 아무나 소리를 메기기도 하는 것이 특징이다. ( )로 표시한 사설은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 사이에 나오는 샛소리이다. |
가사 | (후렴) 허이여허 / 어야 바디야자1)
어야 바디야자 / 어야디야차 어거디여디여 / 어야 바디야자 어야디여라차 / 어야 바디야 어이디여 / 에여라 어여디여차자 / 어야디여차디 어거디여허 / 어야디여차 어여 바디야 / 칠산바다에2) 어야 바디야 / 깔린 칠량3) 어거디여디 / 양주만 남기구 어야디여차자 / 다 잡아 딜였네 아허야리라 / 어가디여 어가디여 / 어야 바디야 어야 바디야 / 어야 바디야 아허야리라 / 어야 바디야자 우리배 선원들 / 어야 디야차에 일심 저서 / 어가 바디야자 담뿍 담뿍 / 아야 바디야자 잘도나 퍼 싣네 / 어야 바디야 어기여디여 / 에야 바디야자 어야 바디야 / 양반님네 아허야리라 / 밥숟갈 뜨듯 어거디야디 / 듬뿍 듬뿍 어야 바디야 / 잘도 뜬다 엔평 바다에 / 어야 바디야자 돈풍년 졌구나 / 어야 바디야 어거디야디 / 에야 바디야 어야 바디야 / 에이여차 아허야 바디야 / 아허 바디야자 아허야리라 / 어야 바디야차 어하디야 / 어야 바디야자 어야 바디야 / 어야 바디야 이물 든물 / 어야디야차에 반만 낫떴네3) / 어야디여차에 아허야리라 / 썰물에도 아허라디야차차 / 천여 마리로다 아허야리라 / 든물에도 사이대칸이5) / 만여 마릴세 꽉 찼구나 / 어야 바디야자 아허야 바디야 / 에야 바디야자 어야 바디야자 / 야디여차에 어거디여디 / 어야 바디야 어야 바디야 / 갈매기는 어허야 바디야 / 높이 떠서 아허디야라자 / 슬피 울고 어야디야 / 이불 고불에서 어어디여 / 파도만 칠라 어어어허어 / 어허디야차어 1) 바디: 그물에 둘러싸인 조기를 배에 퍼담는 도구. 테라고도 함. 2) 칠산바다(七山 -) : 전남 영광 앞바다. 일곱개의 섬이 있어서 생긴 이름. 조기가 많이 잡히는 곳이다. 3) 칠량: 돈. 여기서는 조기. 4) 반만 낫떴네: 조기가 그물에 꽉차서 그물이 반쯤 떠올라 있다는 뜻. 5) 사이대칸: 조기를 잡아 넣는 칸의 이름. 배에 여러 칸이 나누어져 있는 가운데 가장 큰 칸으로 사이다칸은 일본말이며 우리말로는 망깨칸이라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