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치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만선풍장소리-배치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503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인천광역시 |
생산지역 상세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조기잡이]만선풍장소리 , 배치기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인천광역시 , 인천 , 1995 , 1996 , 배치기 , 전원관 , 차정재 , 조두영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전원관, 차정재, 조두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전원관, 차정재, 조두영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배치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원관, 차정재, 조두영이 참여하였다. 조기잡이 기간이 끝나면 어부들은 만선을 표시하기 위해 배에다 봉기(奉旗)를 달고 배에서 풍물을 치며 흥겹게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며 들어오는데 이를 배치기라고 한다. 처음에 조기잡이를 나갈 때에도 배치기를 하고 정초에 뱃고사를 지낼 때에도 이 소리를 한다. |
가사 | (후렴) 어어헤에헤에 어허어어허에 에헤에에어허요
어여차 디여차 닻 감아 메고 칠산바다1)로 돈 실러 가잔다 연평 임장군님을 모셔 싣고 남지나바다2))로 돈 실러 갑시다 암해 수해를3) 맞마춰 놓으니 아드려4) 바깥에 둥덩실 나떴다3) 어여차 디여차 닻 감아 메고 연평바다로 돈 실러 가잔다 연평바다에 깔련 칠량5) 양주만 남기고 다 잡아 실었다 1) 칠선바다 : 전남 영광 앞의 일곱 섬 부근의 바다로 고기가 많이 잡혔음. 2) 남지나바다 : 남지나 해. 가창자들은 제주도 밖의 서남간 바다를 남지나바다라고 부름. 3) 암해 수해 : 그물 코에 거는 두 막대기. 암해는 무거운 나무로 만들어 물밑에 가라앉도록 하고 수해는 물위로 뜨도록 함. 4) 아드려 : 선미의 왼쪽. 5) 칠량 : 돈을 뜻한다고 함. 여기서는 고기를 돈으로 부른 것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