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곳방석앉히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곳방석앉히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503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인천광역시 |
생산지역 상세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새우잡이]곳방석앉히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인천광역시 , 인천 , 1995 , 1996 , 곳방석앉히는소리 , 전유배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전유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전유배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곳방석앉히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유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젓잡이배는 지황(왕)배와 두루메기가 있다. 두루메기는 이물(선두)쪽에 사작살을 세워 그물의 수해는 배에 걸쳐 놓은 채 암해만을 바다속으로 내려서 새우를 잡는 곳배이다. 고려 시대부터 사용하던 시선배 모양과 닮은 배로서, 조선 후기에 생긴 갹선망(醵船網)이며 멍텅구리배라고도 한다. 이 배의 암해 수해가 날개를 편 두루미 형국이라 하여 인천지방에서는 두루메기라고 하였다. 고는 밤나무를 통으로 베어서 줄을 엮어 돌을 얹은 것으로서 배를 한자리에 정착시키는 닻과 같은 역할을 한다. 곳배에서 새우를 잡으면 장두릿배가 왕래하면서 새우를 실어 나른다. 여기서 곳방석 앉힌다는 말은 고를 물에 내려 놓는다는 말이다. |
가사 | (어 곳방석을 앉혀봅시다)
(예) 어여디여차 어이유요 어거디영차 어영 어영 어거여 어이영 어이디영차 어야디여차 어이유요 어거여 어영 어영 어거영 어영 어이디영차 에야 어여디여차 잘도 구르네 잘도 구른다 어여처 어야디여차 어이유요 어거여 어영 어이리영차 에이야 에이디여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