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젓독나르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젓독나르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503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인천광역시 |
생산지역 상세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새우잡이]젓독나르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인천광역시 , 인천 , 1995 , 1996 , 젓독나르는소리 , 전유배 , 김덕봉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전유배, 김덕봉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전유배, 뒷/김덕봉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젓독나르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유배, 김덕봉이 참여하였다. 목도소리, 젓동나르는 소리라고도 한다. 이는 장도릿배가 해안에 당도하여 젓동을 하역할 때 부르는 소리이다. 하나하나 나르면서 산대(숫대)가 늘어남에 따라 신이 나서 소리와 동작이 함께 빨라진다. |
가사 | (자 우리 배 만선 돼 닿았시니 우리 젓동을 좀 풀어 봅시다)
(아 풀어 봅시다) 해저어 허차 허자차 허자차 허자치기 허영차 허자허어 허어차 흐이자차 아양차 흐기요 이영차 아구나 헤양차 심들어 허여차 어저어 먼 데 사람 이져어 듣기 좋게 이저처 으영차 어저어 발 맞춰서 해자 조심조심 으저처 지영처 어기야 헤양차 높은 돌은 아랑처 넘겨 딛고 으야차 얕은 돌은 에장차 어저어 에양차 어저어 으여차 어저치기 으영차 히저어 어여저 어저처 지영차 히저처 양치기 어저치기 양차 에저어 조심조심 어저처 먼 데 사람 어저어 보기 좋게 이저허 지장차 어저처 으여차 어저어 헤양차 에구나 힘들어서 에저 어여차 빨리 풀고 발맞춰서 가족도 조심조심 만나봐야지 헤양차 헤저어 어기여차 어저어 지정차 흐저처 양치기 으저처 먼 데 사람 어저어 보기 좋게 이자차 조심조심 으저어 발맞춰서 어저어 어영차 히저차 다랑치기 으저치기 양차 이저처 어여차 허저어 양치기 이저어 더렁차 허저어 어양차1) 으저차 디렁치 히저치기 에양차 허자차 여치기 허저어 어야차 허저차아 양초오 어지어 아양치기 어저어 떠렁초 어저차 으영치기 으저치 양치기 으기야 강치기 아이구나 힘들어서 못 살갔네 조심조심 헤자차 발 맞춰서 어거야 어야차 이자야 히여차 어저치기 이영처 이저어 놓고 1) 이 부분 이후부터 박자가 빨라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