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나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503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인천광역시 |
생산지역 상세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나무타령 , 민요 , 노동요 , 인천광역시 , 인천 , 1995 , 1996 , 나무타령 , 박이섭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박이섭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이섭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나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이섭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주대는 배에서 쓰는 줄을 꼬는 도구를 말한다. 줄 꼬는 작업은 일의 과정에 따라 노래가 다른데 나무타령, 자우소리, 줄 놓는 소리, 꼼새소리, 술래소리, 여사소리, 채짓는 소리, 사리소리 등 여덟가지가 있다. 여름에 쉴 때 산에서 칡을 베어다가 껍질을 벗겨 말려서 이를 꼬아 줄을 만드는데 이 작업을 할 때 부르는 소리를 주대소리라 한다. 주대틀을 만들기 위해 일년에 한번씩 나무를 베면서 하는 소리가 나무타령이라 한다. |
가사 | 나무야 나무로다 나무 나무 나무로다
나무나무 나무로다 어기여차 나무야 무슨 나무를 베려느냐 무슨 나무를 베려느냐 나무야 나무로다 나무나무 나무로다 오자마자 가래나무 깔고 앉아 구기자나무 나무나무 나무로다 어기여차 나무야 거짓없는 참나무야 그렇다 치자 치자나무 나무야 나무로다 나무나무 나무로다 칼질하니 피나무요 입맞추는 쪽나무 나무나무 나무로다 어기여차 나무야 니편 내편 양편나무 너하고 나하고 살고나무 나무야 나무로다 나무나무 나무로다 달 가운데 계수나무 나루 건너 배나무 나무나무 나무로다 어기여차 나무야 노가지1) 상나무며2) 신답하던 박달나무 나무야 나무로다 나무나무 나무로다 십리 안에 오리나무 십리밖에 수무나무 나무나무 나무로다 어기여차 나무야 낮에 봐도 밤나무요 밤에 봐도 잣나무 나무야 나무로다 나무나무 나무로다 마주 섰다 은행나무 방구 꼈다 뽕나무 나무나무 나무로다 어기여차 나무야 춘하추동 사철나무 발발 떠는 사시나무 나무야 나무로다 나무나무 나무로다 부귀공명 어나무요 봉화이소 오동나무 나무나무 나무로다 어기여차 나무야 1) 노가지 : 노가지나무. 노간주나무의 방언. 향나무과. 2) 상나무 : 향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