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줄꼬는소리-자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차영녀, 김필운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차영녀, 뒷/김필운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자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차영녀, 김필운이 참여하였다. 자우는 물레와 비슷한데 줄을 더 바싹 꼬기 위한 기계이다. 노래 내용은 여성의 성기를 뜻하는 공알의 여러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여성의 생산력을 강조함으로써 풍어를 기원한 것으로 풀이된다. 흔히 알타령이라고도 한다. 평소에도 재미삼아 부르기도 한다. |
가사 | (섬에 가면 알 사나요?)
(알 사지요) 알만 사나 어기야디여차 엥 민알도1) 사지 어여디여어어에 엥 민알만 사나 어기야자차 에 조기알도 사지 어 어기여 어가리야 에 에 조기알만 사나 어기야자차 에 불알도 사지 어야디야 차라아 에 에 불알을 왜 사나 에 에 공알을 사야지 어기야디야차 에 공알두 어기야디야 에 가지가질세 어어기야아이 에에 어디나 한 번 어기야자차 어 셈겨나 보세 어야차 자차자 에 쌔빨갰구나 어기야디야 엥 앵두나 공알 어어기야 에 새파랬다 어기야자차 에 창파나 공알 어야디여차 에 발랑 떴구나 아아앙 에 에 댕기나 공알 어어기야에 엥 아궁 앞에 어기야자차 발린 공알 어여차아 에 시렁 우에 어기야자차 엥 얹힌 공알 어야디야차 에 발딱하구나 아아에 에 대접 공알 어기야에 에 납작하구나 어기야자차 어 접시나 공알 어여라 자차자 우묵하구나 어어기야아 에 주발 공알 어기야자차 에 암팡맞다 어여차이에 어 종지나 공알 어기야디야 에 장대나 끝에 어야차 자차자 에 늘어진 공알 어여디여 에 싹싹 씰어서 차아 에 어 빗자루나 공알 어어디야에 훔칠훔칠 어기야자차 에 걸레나 공알 어야차 디여차자 에 독수나 공방 아무렴 그렇지 어 궁상 공알 어야디여 에 갱굴2) 건너서 차아 에 어 샐쭉 공알 어어기야에 어 일월영친에 어기야 자차 에 짝짝이나 공알 어야차 자차자 언덕밭에 어기야 디야라자 에 씰그러진 공알 어어기야에 울장 끝에 어어기야에 에 걸린 공알 어기야자차자 에 둘둘 말아서 어여디여 어 멍석 공알 차아 어어에 에 활짝 피었구나 어어기야에 에 부채나 공알 에에 잘한다 에 밤콩밭에 어어기야에 에 부서진 공알 어어자리라자 에 수수나 밭에 어야디야 에 붉은 공알 어어어어어에 에 쿡쿡 찔러서 어어기야에 에 보리나 공알 어야 잘한다 에 목화나 밭에 어기야자차 에 펑퍼진 공알 어여차자 에 에 감자나 밭에 어기야에 에 혹 달린 공알 에여라 1) 민알 : 민어알. 2) 갱굴 : 개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