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술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줄꼬는소리-술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필운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필운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술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필운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세가닥의 줄을 한데 합사시키는 것을 술레질이라 한다. 시치미질이라고도 한다. |
가사 | (자 소침들 놓아봅시다)1)
(예) 술레돌 잘 맞는 어야 술레야 이자님은2) 어야 술레야 어데를 가서 어야 술레야 아니 뵈나 어야 술레야 물상질3) 잘 아는 어야 술레야 영자님은4) 어야 술레야 어데를 가서 어야 술레야 아니 뵈나 어야 술레야 키 잘 잡는 어야 술레야 사공님은 어야 술레야 어데 가고 어야 술레야 활질5) 잘 하는 어야 술레야 화장님은6) 어야 술레야 어데를 가서 어야 술레야 아니를 뵈나 어야 술레야 본향님에 어야 술레야 명기7) 받구 어야 술레야 장군님의 어야 술레야 서기받아8) 어야 술레야 나갈 적에는 어야 술레야 둥근북이요9) 어야 술레야 들올 적에는 어야 술레야 승전고라 어야 술레야 만경창파를 어야 술레야 나가여도 어야 술레야 여일랑은10) 어야 술레야 비켜를 주고 어야 술레야 분당여든11) 어야 술레야 안아를 넴겨 어야 술레야 태산 같은 어야 술레야 결이라도12) 어야 술레야 평지같이 어야 술레야 낮춰다가 어야 술레야 신위천신에13) 어야 술레야 놀든 조기 어야 술레야 물 아래로 어야 술레야 깔린 칠량14) 어야 술레야 무지띠미15) 솟워서 어야 술레야 한물거리에16) 어야 술레야 천여 동이요17) 어야 술레야 두물거리에 어야 술레야 만여 동이라 어야 술레야 열두 바다 어야 술레야 도장원이요18) 어야 술레야 스물 네 바다 어야 술레야 도장원이라 어야 술레야 전라도 옥청으로19) 어야 술레야 베포장 치구 어야 술레야 한산 세모시루 어야 술레야 장화발20) 띠었다 어야 술레야 본향님에 어야 술레야 명기 받아 어야 술레야 나갔든 유덕선21) 어야 술레야 들오더니 어야 술레야 경기도 일경에 어야 술레야 돈풍년 들었네 어야 술레야 올라가는 어야 술레야 신선배22) 어야 술레야 내려오는 어야 술레야 장두릿배23) 어야 술레야 북성지구24) 갓으루 어야 술레야 다 몰려 들었네 어야 술레야 김씨네 가중에 어야 술레야 동사님들25) 봐라 어야 술레야 올 일년 어야 술레야 운수 틔었다고 어야 술레야 흐능청대누나 어야 술레야 흐능청댄다 어야 술레야 은자나26) 보물에 어야 술레야 녹수야 칠량 어야 술레야 수문지 칠량에 어야 술레야 테를 달았네 어야 술레야 웃음으로다 어야 술레야 낙화를 삼고 어야 술레야 춤으루다가 어야 술레야 연락을27) 하자 어야 술레야 1) 자~봅시다 : 줄을 꼬려면 줄을 술레에 놓고 물레질을 해야 하므로 줄을 꼬아 보자는 뜻으로 한 말임. 소침은 줄꼬는 데 필요한 틀임. 2) 이자 : 이좌의 와음인 듯. 배의 선원 중 우두머리인 영좌의 바로 아래 직급을 말함. 3) 물상질 : 물길. 4) 영자 : 영좌(領座). 한 마을이나 단체의 우두머리. 여기서는 선원 중의 우두머리를 가리킴. 5) 활질 : 불을 다루는 일. 6) 화장 : 배에서 밥을 짓는 사람으로 선원 중 가장 나이가 어림. 7) 명기(明氣) : 맑고 경치가 아름다운 산천의 기운. 8) 서기(瑞氣) : 상서로운 기운. 9) 둥근북 : 진군북의 와음인 듯. 10) 여 : 물 위에서 안 보이는, 물 속에 숨어 있는 바위. 암초. 11) 분당여든 : 배가 나가는 데 거추장스러운 것들이라고 가창자가 설명함. 12) 결 : 물결. 13) 신위천신 : (뜻모름). 14) 칠량 : 돈. 고기가 돈이 되는데서 나온 사설임. 15) 무지띠미 : 무지하게, 많이. 16) 물거리 : 바다에 밀물이 차는 때에 배가 다닐 수 있는 물길의 거리. 17) 동 : 한 동은 천 마리. 18) 도장원(都壯元) : 장원. 여기서는 함께 나간 배 중에 가장 고기를 많이 잡은 배. 19) 옥청 : 관목. 20) 장화발 : 고기의 양을 재는 막대인 봉죽 위에 늘어뜨리는 좁고 긴 천. 도장원을 하며너 이 천을 늘어뜨림. 21) 유덕선 : 배의 일종으로 고기잡이를 하는 중선을 일컬음. 22) 신선배 : 시선배의 와음. 23) 장두릿배 : 짐을 옮기는 중선. 24) 북성지구 : 북성지구의 와음. 구지는 곳의 방언. 북성지구는 옛 항구의 이름. 25) 동사 : 선원. 26) 은자(銀子) : 은돈. 27) 연락(宴絡) : 잔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