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성주모시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어업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경기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의 배성주모시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경기도편은 CD 8장, 109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503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인천광역시 |
생산지역 상세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배성주모시는소리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어업의례 , 인천광역시 , 인천 , 1995 , 1996 , 배성주모시는소리 , 전원관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전원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전원관 |
지역개관 |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은 인천시 남구 숭의 4동 7번지 소재로 인천 무형 문화재 제3호(인천근해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무형문화재 제5호(주대소리)를 전수 보존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3월 6일에 인천광역시 인천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 채집한 배성주모시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원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배를 만드는 일을 배 몬다, 배 짓는다라고 한다. 배 짓는 데는 1년 이상 걸리는데 배 만드는 중간 중간 선주가 와서 고사를 지낼 때 불렀다. 배는 목수가 만들고 노래는 뱃사람들이 한다. |
가사 | (후렴) 어어리두 배짓자
어 어리두 배짓자 이물비웃을1) 막아라 고물비웃을2) 막아라 겻집을3) 덮어라 겻집을 덮어라 어영차 얹었다 노서방을4) 얹었다 굴통을5) 얹어라 닻물레를6) 얹어라 댓거울을7) 들여라 댓거울을 들여라 (후렴) 어어리두 성주야 어허리두 성주야 어허리두 성주야 앞집 김대목 뒷집 정대목 술 한잔 부은 뒤에 축문지어 고하고 이불 고불 둘러보니 대궐하나 부럽지 않네 스물네 바다 걸린 칠량7) 우리 배가 다 실었다 이물칸엔 어백미8) 고물칸엔 금은보화 엉 허허리두 성주야 엉 허허리두 성주야 1) 이물비옷: 이물에 둘러쳐 칸을 막는 것. 2) 고불: 고물을 계속 고불로 발음함. 3) 겻집: 갑판위에 까는 배의 지붕. 4) 노서방: 노를 사람에 비유한 말. 5) 굴통: 닻을 감는 물레의 중심축. 6) 닻물레: 닻을 감는 물레. 7) 댓거울: 배를 만드는 널판 사이에 물이 새지 않도록 메우는 속. 보통 삼나무 껍질을 비벼 메운다. 8) 칠량: 돈. 여기서는 고기. 9) 어백미(御白米) : 임금에게 바치던 흰쌀. 여기서는 그처럼 좋은 흰쌀이라는 뜻. |